경제·금융

北, 6자회담 복귀 선언… 정부 표정

북핵 문제와 남북관계를 담당하는 외교통상부와 통일부는 9일 북한의 6자회담 복귀 발표에 대해 크게 환영하면서도, 어느정도 예상을 한 듯 크게 놀라지는 않는 분위기였다. 특히 이날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각각 미국과 북한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와 김계관 외무성 부상간의 `합의'에 대해 미측으로부터 언질을 받았지만, 발표시점이 이날 밤이 될 지는 몰랐던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의 경우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경협위) 제10차 회의가 시작된 이날 북미간 전격 합의가 이뤄진 점에 한껏 고무된 모습이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이 나오겠다고 했으니 다행스런 일이고 이제부터는실질적인 진전을 이뤄 북핵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을 위해 다 같이 노력할 때"라고강조했다. 다른 당국자는 "미국과 북한간에 그동안 협의를 해왔기 때문에 그렇게 놀랄 만한 발표는 아니다"라고 말해 이날 북미간 `합의'를 미측으로부터 전달받은 것을 강하게 시사했지만 "발표시점은 전혀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비록 우리나라 및 중국과 의사소통을 해 온 북미간 합의는 있었지만 회담 날짜는 일본, 러시아까지 다 동의해서 정해지는 것"이라며 "일본, 러시아가OK를 해야 한다"고 단서를 달았다. 그는 "1년만에 개최되는 것인데 기쁘다고만 할 수 없다"며 "물론 잘 되기는 했지만 이제 시험 날짜가 정해진 것으로 시험장 가는게 중요한 게 아니라 시험을 잘치르는 게 중요하다"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또 다른 당국자는 "북미간 합의하면 러시아와 일본도 따라오게 돼있다"며 회담 날짜가 사실상 정해진 것이나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회담 복귀 직후 공식 입장을 유보한 외교부는 10일 오전 중에 정부 명의의 공식 논평을 발표할 예정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의 이번 발표는 "6자 회담 참가국들이 그동안 북핵 문제를평화적으로 풀기위해 노력해 온 결과"라면서 특히 "2차 6자회담 이후부터 우리 정부가 북핵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 의사를 보이면서 집요할 정도로 북한의 결단을 촉구해온 것도 유효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6자회담이 개최되는 만큼 회담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의미있는진전을 이뤄야할 필요가 있다"며 "보편타당하고 새로운 제안이 이 시점에서 의미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우리측의 중대제안이 갖는 의미가 적지않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이번 발표가 "중대제안에 대한 북한측 반응이라고도 볼 수 있다"고 풀이하기도 했다. 또 다른 당국자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선언이 "잘됐고 긍정적인 것"이라고 평가하고 이번 발표가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이지만 "남북이 미국을 움직인 것으로도봐도 무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통일부는 이날 오후 7시부터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경협위 북 대표단 환영만찬에 정동영 장관을 비롯한 간부들이 대부분 참석, 북측 대표단과 `위하여'를 외치며 술잔을 부딪혔지만 이날 발표가 나올 줄은 모르고 있었던 듯하다. 특히 정 장관은 만찬에서 "7월에도 남북에 희망이 되는 뜨거운 소식을 전하는좋은 계절이 될 것"이라며 마치 6자회담 재개를 예견한 듯한 발언을 내놓아 눈길을끌기도 했다. 또 다른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 김계관 부상이 베이징에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이렇게 발표가 일찍 나올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남북관계가 완전히 정상화된 상황에서 6자회담까지 재개되면서 남북관계가 한 단계에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경협위도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본다"고 기대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이상헌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