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인 유전자 1만4천종 발굴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단장 유향숙)은 사업착수 1년만에 1만4천여종의 한국인 유전자를 발굴했다고 7일 밝혔다.사업단은 또 국제적 수준의 게놈정보 처리에 필요한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생물정보학) 시스템과 초고속 염기서열 분석기술, 고밀도 DNA칩 제작 및 영상처리기술 등 유전체 연구를 위한 인프라를 조기 구축했다고 말했다. 이번 성과로 의학계에서는 위암과 간암의 조기진단 및 치료제 개발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단은 한국인 유전자 확보를 위해 위암세포와 정상 위조직에서 1만4천여종의기능성 유전자를 발굴했으며 이 가운데 3천982개는 유전자의 완전한 염기서열을 가진 전장클론(full-length cDNA)이다. 이 성과는 미국 국립암연구소가 1999년부터 포유동물 유전자의 전장클론수집(MGC:Mammalian Gene Collection)에 착수해 지금까지 4천957개를 확보한 것과 비교할때괄목할 만한 성과라고 사업단은 설명했다. 특히 이번에 발굴한 전장클론 가운데 1천92개는 아직 세계적으로 발표되지 않은신규 유전자인 만큼 기능연구를 통해 물질특허를 확보하는 등 21세기 유전자 전쟁에본격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업단은 기대하고 있다. 사업단은 또 1만개의 유전자를 하나의 DNA칩에 담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위암 및 간암환자의 조직에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해 지금까지 670여종의위암과 간암 관련 후보유전자를 확보했다. 아울러 DNA칩 영상분석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 그동안 국내 유전체 연구의 취약점으로 지적돼 온 바이오인포매틱스 시스템의 수준을 한단계 높임으로써 유전자발굴과 기능 연구가 가속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유향숙 단장은 "기존에 발굴한 유전자와 한국인의 단일염기변이(SNP) 정보를 종합해 유전체 기능 연구에 본격 돌입, 이 사업의 최종 목표인 위암 및 간암의 조기진단제와 치료제 개발을 서두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규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