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융위기 대비 亞 협력·지원 기구 출범한다

4일 베트남 아세안+3 재무회의서 합의 예정

아시아 역내에 금융위기가 발생할 때 달러 유동성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거시경제조사기구(AMRO)가 출범한다. 또 이들 국가들과 국제통화기금(IMF)이 금융위기를 대비해 공동으로 자금을 조성하는 방안도 논의된다. 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한ㆍ중ㆍ일 재무장관 회의, 아세안+3 재무장관에서 역내 금융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된다. 회의에서는 지난해 3월 아세안+3 회원국들이 역내 국가의 금융 위기시 달러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조성한 1,200억달러 규모의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M)를 본격 가동하는 데 필요한 AMRO 출범에 합의할 예정이다. CMIM은 ASEAN+3의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발생시 다자간 통화스와프 체제를 가동, 1,200억달러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내자금지원제도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최근 이 기금 규모를 2,400억달러로 늘릴 것을 제안했다. 싱가포르에 설치되는 AMRO는 평상시 역내 거시상황을 점검하고 정책권고 활동를 하며 위기시에는 회원국의 자금 지원요청에 따라 CMIM 자금을 집행하는 데 필요한 자금 지원 규모와 조건 등을 제시한다. 아세안+3 재무장관들은 CMIM의 역할에 위기 발생 이전이라도 사전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예방적 기능을 확대하기 CMIM과 IMF 간 협력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IMF는 지난해 한국이 주도한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금융위기 발생 이전 유동성을 지원하는 탄력대출제도(FCL)와 예방대출제도(PCL)를 도입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CMIM과 IMF가 공동으로 자금을 투입하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IMF가 지역 안전망과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이라는 큰 틀로 합의된 사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