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車 처리 어디로 가나

대우車 처리 어디로 가나파기 대비 안정장치 마련 관심 정부와 채권단의 대우차 처리방향은 「헐값매각」과 「속전속결」의 두가지 목표 중 후자에 비중을 두고 있다. 가격이 다소 떨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한달 내 매각을 마무리해 기업가치 손실과 채권단 추가 지원(국민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매각작업에 실패할 때 생길 부담도 덜어 차선(공기업화·위탁경영)을 마련할 시간을 벌자는 의도도 담겨 있다. 그러나 「선 매각, 후 정산」 방안은 무리가 뒤따르는 것도 사실. 인수자로서는 「정밀실사→우선협상자 선정」에 비해 부담이 따르고 이는 그나마 있는 후보자를 날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정산과정에 비해 매각가격 하락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신속 매각」이 최우선=정부는 내년 2월까지 구조조정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포드의 인수 포기는 이같은 일정에 찬물을 끼얹었다. 채권단 추가 지원으로 국민부담도 가중시켰다. 대우차 가치를 손상돼가고 있다. 최종 계약체결까지 최장 6개월이 소요될 정상적 과정에 따라 회사를 팔면 가격은 지속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방법은 하나. 가격을 적게 받더라도 빨리 팔아치우는 게 낫다는 것. 그래서 고안해낸 게 「선 매각, 후 정산」이다. 어차피 다른 인수후보자가 없다면 빨리 파는 게 한푼이라도 더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7단계 매각방식=사실상 모든 매각작업은 한달 내 마무리된다. 이달 말까지 GM-피아트, 다임러-현대컨소시엄으로부터 인수의향을 받는다. 공장 등 1차 예비실사가 마무리된 만큼 2~3일간의 간이 예비실사면 후보자들이 최종 인수제안서를 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음달 20일이 한정선이다. 경영권도 넘어간다. 자동차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한 조치다. 대신 정밀실사 기회를 줘 추가 발생한 우발채무 등은 보상한다. 정산작업은 최대한 연내 마무리할 방침. 최종 매각이 끝나는 시점이다. 그렇다고 재입찰은 아니다. 이근영(李瑾榮) 금감위원장은 『조건을 변경하면 재입찰이 된다』며 『분할매각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최소한 쌍용자동차와 일부 해외법인은 매각대상에서 빠질 공산이 크다. ◇「계약파기 방지장치」 마련이 열쇠=빨리 파는 만큼 가격이 문제다. 유력 후보자인 GM은 포드에 비해 턱없이 낮은 가격을 제시한 상황. 채권단은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 입찰가격과 제한된 시간 등 정부와 채권단은 후보자들에 꽃놀이패를 던져준 상황이다. 매각계약이 성사된다는 자체가 힘들 실정이다. 정작 문제는 계약이 성사된 후다. 선 매각, 후 정산은 사실상 수의계약과 비슷하다. 수의계약에 비해 오히려 가격 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 李위원장은 『정밀실사 후 정산해도 가격은 크게 하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전문가들은 「글쎄」다. 경영권을 넘겨받은 계약체결자는 우발채무나 추가 부실에 가격을 깎을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정상화를 위해 채권단에 돌아갈 인수대금을 운영자금이나 자본에 추가 투하할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마찰이 일 경우 「포드전철」이 뒤이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파기하지 못하도록 안전장치를 어떻게 마련하느냐가 열쇠. 채권단은 크게 3가지 측면에서 안전장치를 준비하고 있다. 정산기한과 정산액 상한선, 정산액에 대한 보험가입 등이다. 입찰보증금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칼자루 쥔 GM컨소시엄=李위원장은 다임러가 포기할 경우 현대는 자격이 없다고 밝혔다. 다임러는 여전히 소극적인 인수자세다. 인수의사를 밝히더라도 수정제안서에서 희망가격을 다시 낮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면 칼자루는 GM이 갖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 물론 GM이 꽃방석을 안겨주는 것은 아니다. 채권단으로서는 최악의 협상 파트너일 수 있다. 인수가 등 모든 면에서 그렇다. 채권단 고위 관계자는 『헐값이라도 어쩔 수 없다』고 말하면서도 『최악의 경우 공기업화 방안도 검토해야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채권단의 엄청난 추가 출혈이 불가피하지만 차라리 정상화 후 매각이 낫다는 것이다. 李위원장도 지난주 『국영화는 절대 없다』에서 18일에는 『채권단이 결정할 것』이라고 자세를 바꾸었다. 김영기기자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09/18 18:27 ◀ 이전화면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