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지율 게걸음 정동영 "묘수가 없네"

昌 대선출마 단숨에 2위로…鄭은 10%대

정동영(가운데)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가 8일 부산 백스코에서 열린 가족행복위원회 부산·경남·울산지역 출범식에서 손학규(왼쪽)·이해찬 공동선대위원장들과 맞잡은 손을 들어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부산=이성덕기자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가 10%선의 게걸음을 걷고 있는 지지율 답보로 인해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지난 7일 대선출마를 선언한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단숨에 20%대 지지율로 2위를 차지하자 정 후보에겐 당장 이를 뒤집을 묘수가 없기 때문이다. 정치권은 정 후보의 지지율 답보현상이 구조적인 문제에 기인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후보 개인의 역량부족 보다는 당이 처한 역학 구도상 한계라고 볼 수 있다. 우선 당내 상황을 보면 여전히 결집력이 떨어진다. 정 후보가 당내 여러 진영을 아우르는 대규모 선거대책위원회를 발족시키며 외연상으로는 탕평책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곳곳에서 불협화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최근 정 후보가 공약한 ‘대학입시 전면 폐지’ 정책만 해도 김진표 당 정책위의장 등이 반대하면서 공식 발표가 한 차례 연기되는 진통을 겪었다. 또 당의 김효석 원내대표가 최근 국회 연설을 통해 ‘1가구 1주택자 양도세 유예 검토’ 방침을 발표했으나 정 후보측 이목희 선대위 정책기획본부장이 난색을 표명했다. 정 후보의 지지율 상승을 견인할 핵심 공약 개발을 놓고 ‘친 DY(정 후보)계와 비 DY계’, 혹은 ‘개혁파와 실용파’간 갈등이 재연되고 있다. 선대위 관계자는 “정 후보가 대부분의 선대위 조직을 공동위원장이나 공동 본부장 체제로 아우르면서 되도록 여러 진영 인사들에게 골고루 자리를 나눠줬지만 실무자 입장에선 시어머니가 많아진 꼴이 됐다”며 “민감한 이슈를 놓고 ‘시어머니들’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면 선거전략이 휘청거리게 된다”고 우려했다. 참여정부와의 애매한 관계설정도 정 후보의 지지율을 묶어 놓는 구조적 한계로 꼽히고 있다. 정 후보는 대선출마 초기 노무현 대통령과 적극적으로 각을 세우며 비노 성향의 중도 유권자 흡수에 나섰지만 경선 승리 후엔 전통적 지지층 결집을 위해 친노진영 아우르기에 나서면서 참여정부와의 관계가 모호하게 바뀌었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북ㆍ부동산ㆍ기업정책에서 현 정부와 뚜렷한 차별화를 내지 못하면서 부동층 표심을 움직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 후보는 범여권 후보단일화를 통해 ‘반(反) 이회창ㆍ이명박 진영’의 전통적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쪽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정 후보측 김한길 의원이 지난 7일 저녁 박상천 민주당 대표와 만나 후보 단일화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후보는 또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측과의 후보 단일화나 연정을 모색하기 위한 초기단계로 이르면 오는 20일부터 양측이 정책노선을 공유하기 위한 토론회를 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후보와 문 후보는 또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와의 연대도 추진하는 등 전방위로 표심 결집을 준비중이다. 하지만 이들 4개 진영의 후보 지지율을 모두 합쳐도 아직 2위 탈환이 어려운데다가 연정 등의 논의가 자칫 ‘지분 협상’으로 비쳐질 수 있어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