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벨과학상 프로젝트 가동] 미래형 인재 육성 방안

몰아서 수업 듣는 집중이수제 도입<br>교대·사범대학 복수전공 확대도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가 제시한 미래형 인재육성 방안의 핵심은 ▦초ㆍ중등 교과교육과정을 창의력과 인성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개편하고 ▦고등교육 국제화 확대를 통해 대학교육을 혁신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자문회의가 교과교육과정 개편 방향으로 ▦인접 교과 간, 문ㆍ이과 간 장벽 제거를 통한 융합교육 강화 ▦실용탐구활동 중심 수학ㆍ과학교육 내실화 ▦글쓰기ㆍ말하기 등 실용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위한 언어교육(국어ㆍ영어) 개편 ▦세계 시민의식 제고, 진로교육 확대 등 세계관ㆍ국가관ㆍ직업관 확립 등을 제시했다. 이는 내년부터 초ㆍ중ㆍ고교에 적용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모두 담겨 있다. 문제는 학교 현장에 얼마나 잘 적용되느냐다. 실제 문ㆍ이과 간 구분은 선택형 교육과정인 7차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없어졌지만 고등학교에서는 아직도 문과와 이과를 나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문ㆍ이과로 구분된 대학입시 준비의 효율성 때문이다. 따라서 문ㆍ이과 간 칸막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입시제도부터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자문회의가 현행 주입위주 학습량의 20% 이상을 줄이고 교원 복수자격을 확대할 것을 건의한 것은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습부담을 덜고 교사들도 융복합 트렌드에 발맞춰 복수교과를 담당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한 학기에 몰아서 수업을 듣는 집중이수제가 도입되고 교대나 사범대에서 복수전공을 확대하는 것도 이러한 취지에서 추진된다. 자문회의가 제안한 한중일 간 '캠퍼스 아시아(Campus Asia)' 프로젝트 조기 정착은 고등교육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취지다. 캠퍼스 아시아는 서울대(한국), 도쿄대(일본), 베이징대(중국) 등 3개국의 대표적 국립대학이 상호학점 교류를 인정하는 제도로 3국 정상들 간 상당한 합의에 이른 상태다. 자문회의는 이 프로그램을 3국을 넘어 동남아국가까지 참여시켜 아시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