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 교통신호 대기시간 짧아진다

市, 권역별 전담관리체제 도입

지역구분 없이 연결돼 있던 서울시 교통신호 운영센터를 지역별로 구분해 그룹화하는 ‘권역별 전담관리체제’가 도입된다. 서울시는 지역별ㆍ도로별 또는 연동 그룹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 된‘맞춤형 신호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방침이라며 10일 이같이 밝혔다. 이 같은 체계 개편으로 교통신호가 유기적으로 연동 제어되면 교차로 등에서 교통신호 대기시간이 짧아져 차량 흐름이 다소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서울 시내에 설치된 3,000여 개의 교차로 중 교통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신호주기를 달리하는 ‘실시간 신호제어’를 시행하는 곳은 373개 교차로다. 나머지 대부분은 출ㆍ퇴근, 심야시간대 등 시간대별로 신호주기를 달리하는‘정주기 신호제어’방식을 택하고 있다.‘실시간 신호제어’장치는 그러나 꼬리 물기 등으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신호등 간 연동관리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 등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일정 구간에 설치된 여러 개의 신호 제어기를 묶어 하나의 신호연동 그룹으로 만들고 다시 여러 개의 연동 그룹을 묶어 하나의 권역별 전담 지역 제어컴퓨터에 연결시켜 동일한 권역에 속하는 연동제어 그룹들이 하나의 체계적인 명령ㆍ통제시스템에 따라 운영되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2억 7,000만원의 예산을 투입, 지난해부터 서울시립대ㆍ서울시정개발연구원ㆍ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과 공동으로 진행중인 ‘서울형 통합 교통신호체계 구축’학술 용역을 다음달까지 마친 뒤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업그레이드에 나설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