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귀화·영주권자, 가구 소득 수준 크게 낮아

국내 귀화자와 영주권자의 가구 소득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민정책연구원 정기선 선임연구위원은 5일 숙명여대에서 ‘다문화사회 한국, 사회통합의 가능성을 찾는다’라는 주제로 열린 학술대회에서 “귀화자와 영주권자의 가구소득이 한국인의 평균소득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정 위원은 작년 8월~10월 전국 영주권자(600명)와 귀화자(700명) 등 1,30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가족생활·경제·사회참여·소속감 등을 조사했다.

관련기사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영주권자의 월평균 가구소득은 7점 만점에 3.13점으로 환산시 300만원에 못 미치고, 귀화자의 월평균 가구소득은 2.65점으로 영주권자보다 낮았다. 이는 2011년 한국인의 월평균 가구소득(384만원)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특히 영주권자와 귀화자의 기초생활 수급 대상 비율은 각각 5.0%와 8.0%로, 최하 수준의 경제적 위치에 있는 비율이 한국인(2011년 기준 3.1%)보다 훨씬 높았다.

정 연구위원은 “현재와 같은 이민정책이 지속된다면 귀화자나 영주권자는 저소득층으로 고착화될 수밖에 없다”며 “영주나 귀화를 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사회시스템적으로 지원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