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도사법 만들어 컨설팅 능력 강화해야"

본지·중기청 후원 '지식서비스산업 발전포럼'

경영·기술지도사 업무 불명확… 마케팅도 컨설팅에 포함 필요

중기 자생력 강화·혁신 위해선 자금 위주 백화점식 지원 벗어나

컨설팅 산업 동반성장 유도를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회 지식서비스산업 발전포럼'에서 나도성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연구원(KSCon) 원장이 '중소기업의 창조혁신과 컨설팅산업의 동반성장'이란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

중소기업 경영진단과 지도를 하고 있는 경영·기술지도사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독립법으로 가칭 '지도사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진단지도 개념을 마케팅을 포함하는 광의의 컨설팅으로 개선, 경영·기술지도사의 컨설팅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높이고 기업 스스로 혁신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자금지원 위주의 백화점식 정책지원이 아닌 중소기업의 능력을 키워줄 컨설팅 산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회 지식서비스산업 발전포럼'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임건면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경영·기술지도사는 국가의 전문자격사로서 공인된 실질적인 경영·기술 진단·지도를 담당하는 전문가이면서 전문직으로서의 요건을 완벽하게 충족하고 있다"며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형식적 요건에 해당하는 법률규정으로 미비로 인해 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임 교수는 "차제에 경영·기술자격사에 관한 독립된 개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밝혔다. 서울경제신문과 중소기업청이 후원한 이날 포럼은 이현재 새누리당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가 주관해 '중소기업과 컨설팅산업의 동반성장및 지도사법제정의 필요성'이란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임 교수는 "현행 경영·기술지도사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도사의 업무의 불명확성, 배타적 독점권의 불허와 독립된 법률의 결여 등"이라며 "경영·기술지도사의 업무범위를 중소기업진흥법 시행령에 포괄적으로 위임함으로써 지도사의 업무범위가 행정편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컨설팅의 개념을 중소기업진흥법처럼 좁은 의미의 진단이나 지도에 한정해 해석한다면 국내의 경영·기술지도사는 자문이나 상담, 제한적인 대행업무만을 할 수 있을 뿐이고, 마케팅업무를 대행할 수 없게 돼 그 활동범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며 "진단지도의 개념을 넓은 의미의 컨설팅 개념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개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앞서 기조연설을 맡은 나도성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연구원(KSCon) 원장은 중소기업의 창조혁신과 컨설팅 산업의 동반성장을 강조하며 "개별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것은 시장경쟁 역량을 높이는데 근원적인 한계가 있어 중소기업 혁신창조경영의 중핵(中核) 플레이어로서 컨설팅산업의 동반성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국 컨설팅산업의 현황과 생태계 혁신방안' 을 발표한 김익성 동덕여자대학교 EU통상학과 교수는 "국내 컨설팅사의 컨설팅수준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글로벌 컨설팅사와 대등한 공정경쟁이 가능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표준컨설팅방법론 개발과 보급, 컨설팅정보 DB화 등 인프라 지원도 함께 강화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 이의준 벤처캐피탈협회 부회장은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컨설턴트의 역량강화방안'으로 △지도사의 법률적 지위및 독보적 업부 확보 △단계별 체계화된 역량개발 △보수교육의 질적 강화 △경영진단 바우처 제도 도입 △컨설팅대학원의 기능 재정립 등 전문연구기능 확립 △컨설팅 국제화 등을 꼽았다.

송갑호 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 회장은 "이번 '제1회 지식서비스산업 발전포럼'은 우리나라 컨설팅 산업의 밝은 미래를 조망하고, '지도사법' 제정의 초석을 다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며 "컨설팅 산업은 융ㆍ복합 기술의 사업화, 중소·벤처기업 창업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지속 창출 등 창조경제 실현에 있어서 핵심 성공요건"이라고 행사 취지를 설명했다. 송 회장은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물론 저개발국에서도 컨설팅 산업 발전을 위해 선진국에 원조를 구하는 등 범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도사법 제정'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설턴트 집단인 경영지도사, 기술지도사들의 안정적인 업무활동을 가능케 함은 물론, 저개발국에 안정적인 컨설팅 기법 지원, 그리고 궁극적으로 컨설팅 산업이 하나의 성장동력으로 뿌리내릴 가장 확실한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포럼은 이현재, 이채익, 전하진 새누리당 국회의원을 비롯 학계, 중기청 등 관계 관계자, 경영·기술지도사 등 200여명이 참석,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또 경영·기술지도사회 신설 연구소(가칭 중소기업창조혁신연구원)의 전략적 운영방안 등도 발표돼 관심을 끌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