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재정경제부 공보실 관계자들이 예고 없이 브리핑실을 찾아왔다. 그간 매주 금요일 진행되던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의 정례 브리핑을 ‘비정례’ 행사로 진행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매주 브리핑할 내용이 있는 것도 아닌데다 일정이 바쁜 날에 굳이 부총리가 내려올 필요도 없지 않느냐는 이유다. 필요하다면 국장급이 내려오면 된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지난해 말 재경부는 경제부처 통합 브리핑 제도를 도입하면서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사실상 제한했다. 반발하는 기자들에게 내놓은 대안이 ‘선진국형 취재시스템’이라는 브리핑 제도다. 매주 1번 있는 정례 브리핑은 ‘콜 센터’ ‘닭장’으로 불리는 기자실에 갇혀 기삿거리에 목말라 하는 기자들에게 ‘모이’라도 던져주는 자리였다. 개별 인터뷰마저 전면 거부하는 상황에서 주요 정책에 대한 장관의 의견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유일무이한 자리기도 했다.
그런데 이제 그 창구마저 제한하겠다고 한다. 나름의 전후사정이 짐작은 간다. 정부가 항상 새로운 정책을 내놓는 것도 아닌데다 브리핑 거리를 찾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을 터다. 국영방송을 통해 브리핑 내용이 생중계까지 되니 부담은 더 늘었을 것이다. 브리핑을 통해 조율도 되지 않은 1가구3주택 양도세 중과, 자동차 특별소비세 연장검토안 등이 터져 나오면서 뒷수습도 만만찮았을 것이라 본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다. 장관과의 정례 브리핑 자리는 일차적으로는 언론과의 만남이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정부의 정책방향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설명하는 자리라는 점이다. 그렇잖아도 개별취재가 제한되면서 ‘알리고 싶은 사실만 알리는 정부’라는 비판이 제기돼온 터다. 공식 만남 자리마저 줄인다는 것은 정부의 정책방향을 알고자 하는 국민들마저 외면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따지고 보면 정책의 혼선도 자꾸 숨기고 감추려고만 들어서 생긴 것 아닌가. 당장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정책이 아닌 요량이라면 여론을 수렴하고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여 충분한 사전조율 과정을 거치는 일은 필수다. 그런 면에서 언론과의 만남은 국민을 가장 손쉽게 만날 수 있는 자리다. 뭐가 그리도 무서워 만남의 자리마저 줄이겠다는 것인지 답답한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