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당 ‘총선문건’ 관권선거 논란

열린우리당이 `총선에 대비하기 위해 당(黨, 열린우리당)과 정(政, 정부), 청(靑,청와대)이 함께 참여하는 합동 지휘부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총선 전략 대외비 문건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불법관권선거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27일 우리당의 총선 대외비 문건 내용을 입수해 보도한 중앙일보에 따르면 우리당은 총선후보 영입을 위해 당ㆍ정부ㆍ청와대가 함께 참여하는 컨트롤타워를 구성키로 하고 총선전까지 이른바 선(先)당, 중(中)청, 후(後)정이라는 국정운영의 우선 순위도 매겨놓은 문건을 `총선전략 태스크포스팀` 명의로 작성했다. 총선 전략 문건은 `17대 총선 열린우리당 전략 기획`과 `지지도 조정 국면 대응 방안`이란 제목의 두 가지로 되어 있으며 ▲상대적 도덕성의 우위 선점 ▲한나라당의 40년 국회 독과점 체제와 독재렉廣鈞정치 실정에 대한 반대 여론의 극대화 유도 ▲정부렝怜瓮열린우리당 중심의 `좋은 일자리 창출 TF 구성` 등의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 열린우리당의 목표 의석을 지역구 99∼114석으로 잡고 있다. 이와함께 최열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박원순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박세일 서울대 교수, 안철수 안철수연구소 대표, 진념 전 경제부총리, 박승 한국은행 총재 등을 외부 영입 인사로 거명해 놓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나라당 홍사덕 원내총무는 “노무현 대통령이 독재자의 길을 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한 뒤 “민주당과 공조해 노 대통령의 탄핵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반격했다. 민주당 조순형 대표도 상임중앙위원회의에서 “과거 군사정권에서 불법관권선거를 했는데 이번 전략문건은 새로운 유형의 불법관권선거”라며 “고(故) 안상영 부산시장도 문건에 나온 5단계 전략을 거쳐 강온전략에 의해 희생된 것은 아닌지 의혹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우리당 민병두 총선기획단 수석부단장은 “우리당내에는 총선전략태스크포스팀이 없고, 앞으로도 필요없다”며 “실무자들이 도상연습으로 문건을 만들순 있겠지만, 그러한 문건도 당에 공식 보고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박동석기자 everest@sed.co.kr>

관련기사



박동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