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공공분양 물량 축소 따라 LH 사업비 8000억 줄어

토지보상비 25%나 급감

정부의 공공분양 물량 축소 방침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올해 사업비도 지난해보다 8,000억원 줄었다. 특히 토지보상비는 25%나 줄어든 5조6,000억원에 그쳤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이사회를 열고 올해 전체 사업계획을 지난해 계획 사업비 대비 20%, 실 집행 금액 대비 4%가량 줄어든 20조653억원으로 책정했다고 9일 밝혔다.


사업비가 축소된 것은 새 정부가 보금자리주택 등 공공주택공급 규모를 예년에 비해 대폭 줄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LH 관계자는 "새 정부 정책집행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 신규사업 착수를 줄이고 서민주거복지 및 경제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사업계획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주택 준공 물량을 10만2,000가구, 인허가는 임대 5만6,000가구, 분양 1만가구 등 6만6,000가구로 정했다. 매년 10만가구 이상 인허가가 진행된 것에 비하면 상당히 줄어든 규모다.

관련기사



정부의 방침에 따라 LH의 올해 주택사업 규모도 축소됐다. 올해 LH가 착공 예정인 주택은 총 5만5,000가구로 지난해 7만1,283가구보다 1만6,000가구가량 줄었다. 특히 분양물량은 7,000가구로 지난해의 20% 수준에 불과하며 임대주택은 지난해보다 1만3,000가구 늘어난 4만8,000여가구로 계획했다.

토지 보상 예산도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올해 LH는 전국 10여개 지구에 총 5조5,000억원을 보상비로 투입할 계획으로 지난해(7조4,340억원)보다 2조원가량 줄었다. 특히 신규로 보상 작업에 들어가는 지역은 없으며 포항 블루베리산업단지, 계룡대실지구, 경기 오산지구, 부천 오정물류단지, 보령명천지구 등 이미 공고가 난 지구만을 대상으로 보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LH는 올해 택지 판매로 9조6,194억원, 주택 분양으로 4조8,577억원, 임대료 1조313억원 등 총 15조5,000억원의 수입을 올릴 계획이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