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추가로 부실여신(NPL)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순우(사진) 우리은행장은 1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신년인터뷰에서 "기업이 아프면 미리 가서 약도 주고 뭐가 필요한지 살펴 선제적으로 부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9월 말 현재 부실채권비율이 2.25%로 금액으로만도 4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1.9%대로 부실채권 비율을 낮출 예정이지만 1%대 초ㆍ중반인 경쟁 은행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올해의 경우 부실채권과의 전쟁을 통해 추가부실 발생을 막겠다는 얘기다.
다만 이 행장은 부실채권 비율이 높다고 좋지 않은 은행이라는 평가를 내리는 것은 문제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 행장은 "은행 평가를 할 때 이익을 많이 냈다, 규모가 크다, 부실채권이 적다 등으로 하는데 이는 은행 본연의 임무를 생각하면 의미 없는 것"이라며 "기업을 지원해 일자리 창출에 얼마나 기여했는지가 은행의 평가기준이 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기업이 어려울 때도 대출을 회수하지 않고 이를 살리기 위해 지원하는 곳이 자연스레 부실채권도 많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행장은 "은행은 병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건강한 사람만 진료하고 아픈 사람은 받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환자(기업)를 살리는 게 금융의 본래의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이 어려워지면 인건비가 문제인지 물류비가 많은지 등을 따져 은행이 정확하게 진단, 조언해 업체와 은행이 함께 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우리은행은 기업전문 은행으로 그동안 수업료를 많이 낸 만큼 충분히 이를 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외진출과 관련해서는 우리은행의 강점인 기업금융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고 했다. 이 행장은 "소매금융은 우리가 은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하는 것이고 실상 우리의 강점은 기업금융에 있다"며 "인도네시아ㆍ베트남ㆍ중국 등 우리보다 금융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서 기업금융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사회적 책임문제의 경우 일률적인 수수료나 대출금리 인하보다는 차별적인 방법이 좋다고 밝혔다. 이 행장은 "일률적으로 수수료 등을 내리면 오히려 부자들이 더 혜택을 받는 경우가 생긴다"며 "국가유공자ㆍ대학생 등 사회소외계층에 한정해 혜택을 주는 게 맞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