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美 정가 '회전문 인사' 다시 기승

의원·보좌관 금융권 이직… 업계 입장 대변등 영향력

미국 정가의 고질적인 '회전문 인사' 문제가 최근의 금융규제 강화 분위기로 인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시민단체 퍼블릭씨티즌의 자료를 인용, 미 연방의회에서 의원 및 보좌관으로 활동하다가 월가 등 금융권으로 자리를 옮긴 사람이 지난해에 총 125명을 넘는다며 이 같이 보도했다. 특히 이들 중 최소 70명은 의원 출신으로 금융권의 입장을 대변, 의회가 마련한 금융규제법안에 강력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회전문 인사 현상이 주로 금융권에서 눈에 띄는 것은 의회의 금융규제 강화 움직임을 제한하려는 금융권의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일례로 세계 최대의 파생상품 거래소 인터컨티넨털교환소(ICE)의 로비스트인 피터 로버슨은 지난 1월까지 바니 프랭크 미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장의 선임 보좌관이었다. 그는 지난해 프랭크 위원장이 주도한 금융개혁법안의 초안을 작성하는데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NYT는 "로버슨의 이직 때문에 프랭크 위원장은 분노를 터뜨렸다"며 "이번 일은 로비와 관련한 미국 법률들의 허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 금융권 관계자들은 "의원 및 보좌관은 높은 전문성을 갖췄고 연방정부의 사안에도 접근이 가능한 특별한 매력이 있기 때문에 인기가 매우 높다"고 밝히고 있다. 퍼블릭씨티즌의 크레이그 홀맨 간사는 "정치권 인사의 영입에 따르는 대가는 매우 비싸다"며 "그러나 (영입)회사들은 효과를 확실하게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