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 바닷모래 채취 업체 고사위기

채취료 급등·공급가 하락 '이중고' … 줄폐업땐 골재파동 우려

건설경기가 침체되면서 인천 남항을 비롯, 인천지역 바닷모래 야적장에 출고가 안된 해사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인천의 19개 바닷모래 채취 업체들이 채취료 급등과 수요 감소로 이중고를 겪으면서 존폐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26일 인천 바닷모래 업계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바닷모래 업체들은 올해 인천 앞바다의 채취 허가량인 610만㎥를 오는 5월말까지 자월도와 덕적도 인근에서 채취하기로 하고 옹진군에 200억원의 공유수면 점ㆍ사용료를 납부하기로 했다. 5월이 지나면 꽃게철 등이 시작돼 채취가 금지된다. 하지만 이들은 경영 악화로 점ㆍ사용료의 분납을 요청해 75%만 납부한 데 이어 그나마 다음달까지 내야 할 나머지 25%도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이들의 사정이 이렇게 어려워진 것은 채취료가 워낙 비싸기 때문이다. 지자체는 지난 2004년 1㎥당 770원 하던 채취료를 2,460원으로 3배 이상 올렸고 2005년에는 1㎥당 1,140원이 인상된 3,600원으로 책정했다. 채취료는 이렇게 폭등한 반면 수요는 건설경기 침체로 뚝 떨어져 공급가격은 반대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당 1만원을 웃돌던 가격은 올해 9,000원 이하로 떨어지면서 적자폭을 더욱 키우고 있다. 바닷모래 수요가 줄어들면서 인천 남항 바닷모래 부두에는 판로를 찾지 못한 해사가 산더미 처럼 쌓여있다. 이 지역 한 바닷모래 업체 대표는 “수요가 줄면서 업체들이 살아남기 위해 제살깎기식으로 덤핑 공세를 벌이고 있는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라며 “현 상황이 이어진다면 채취료 납부는 고사하고 문을 닫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닷모래 업체들이 폐업을 할 경우 본격적이 건설 시즌을 맞아 골재 파동이 일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골재협회의 한 관계자는 “관내 기업들의 30% 정도가 이미 영업을 중단해야 할 형편”이라며 “바닷모래 채취 업체들이 문을 닫을 경우 골재 파동과 같은 후폭풍이 불가피 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