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집단급식 지하수 28% 세균·발암물질 검출

집단급식소와 식자재공급업소가 사용하는 지하수 28%에서 각종 세균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환경부가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안명옥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집단급식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와 ‘음용가능 생활지하수 수질검사 결과’에 따르면 집단급식소와 식자재공급업소가 사용하는 지하수 28%에서 세균, 발암성 물질이 검출됐다. 집단급식소와 식자재공급업소의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식약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9월까지 집단급식소와 식자재공급업소를 대상으로 지하수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64개 집단급식소 가운데 학교급식소 9개를 포함해 13개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식자재공급업소 29개중 13개가 음용수 기준을 벗어났다. 환경부가 매년 실시하는 지하수 수질검사에서도 올해 상반기에 330개 지하수에서 660건의 부적합 사례가 발생했다. 이러한 수질상태가 노로바이러스 감염 등 각종 식중독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 사고는 2005년 7건에서, 2006년 51건, 올해 7월말 현재 79건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