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시중자금 유입 '주춤'

금리 하락탓 지난달 감소·정체…단기 부동자금은 증가세


시장 실세 금리와 함께 예금 금리도 동반 하락하는 가운데 2월중 주요 시중은행의 수신이 감소하거나 정체 상태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이 올 1월 고금리 특판예금을 앞세워 20조원 이상의 자금을 끌어들였지만 증시가 안정되면 또 다시 은행 예금이 이탈하는 ‘머니 무브(money move)’ 현상으로 고전할 것으로 우려된다. 2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 1월 공격적인 고금리 특판예금 등을 통해 3조원 가량 수신을 확대했으나 2월에는 1,400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도 지난 1월중 연 7.0%에 육박하는 정기예금 특판을 내세워 수신을 6조원이나 확대했지만 2월에는 3,600억원 늘리는데 그쳤다. 하나은행의 수신 증가 규모도 2월에는 3,400억여원에 머물렀다. 올 1월의 경우 증시 급락 및 고금리 특판예금에 힘입어 은행권의 수신이 큰 폭으로 확대됐지만 2월 들어서는 금리가 큰 폭으로 떨어진 데다 주가도 바닥에 달했다는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다시 은행권에서 자금이 빠져나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은행들은 지난 1월 경쟁적으로 금리가 연 6%대 후반에 달하는 정기예금 특판 행사를 가졌지만 2월 들어서는 양도성예금증서(CD) 및 금융채, 국채 금리가 급락하자 정기 예금 금리를 5%대 초반으로 낮췄다. 한 달 사이에 예금 금리가 무려 1%포인트가 이상 떨어진 셈이다. 앞으로도 정책금리 인하 기대, 외국인 투자자들의 채권 매수 확대 등으로 실세금리가 계속 하향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 예금 금리도 동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은행 관계자들은 주가가 바닥을 찍었다는 기대감에 힘입어 단기 부동 자금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월 은행권은 정기예금 특판을 통해 무려 20조3,000억원을 끌어들였지만 저원가성 예금인 수시입출식예금 잔액은 같은 기간동안 무려 14조5,000억원이나 빠져 나갔다. 이 자금 가운데 일부는 고금리 정기예금으로 흘러 들어갔지만 상당액이 투자 시기를 기다리며 MMF 등 단기 시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