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성체줄기세포 早老 원인 첫 규명

서울대 강경선 교수팀, 노화 조절 마이크로RNA 3개도 발견

성체줄기세포가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일찍 늙어버리는(조로ㆍ早老) 이유를 국내 연구팀이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에 따라 성체줄기세포를 질병 치료에 이용하는데 최대 난점으로 꼽혀 온 `조기 노화'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풀릴 전망이다.


서울대 수의과대학 강경선 교수팀은 성체줄기세포의 노화가 기존에 추정했던 것처럼 선천적인 염색체 이상보다 염색체 히스톤 단백질의 아세틸화와 관련있는 폴리콤브(polycomb) 단백질과 JMJD3 단백질의 역할에 의해 이뤄진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관련기사



강 교수팀은 또한 줄기세포의 노화와 특이적으로 관련있는 HMGA2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마이크로RNA 3개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들 마이크로RNA가 줄기세포의 노화를 조절하며, HMGA2 유전자가 줄기세포의 기능에 필수적 요소임을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마이크로RNA는 메신저RNA(mRNA) 등과 결합해 세포 속에서 특정 유전자가 과도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조절한다. 조절이 잘못되면 발생 과정에 문제가 생기거나 당뇨ㆍ암 같은 질병이 생길 수 있다. 마이크로RNA의 이같은 기능을 이용하면 질병, 줄기세포 조기 노화 등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ㆍ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강 교수는 "마이크로RNA는 세포 내에서 다양한 유전자를 조절함으로써 분화ㆍ성장ㆍ사멸 등 모든 생명현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줄기세포의 노화와 관련한 특이 마이크로RNA를 찾아냄으로써 성체줄기세포의 노화 조절 방법을 찾는 길을 열고 노화현상 규명,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두 편의 논문은 저명 국제학술지 `세포 및 분자생명과학(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 최근호에 잇따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