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이회창 전 총재의 대선출마에 따른 파장

대선을 40여일 남겨놓은 시점에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7일 한나라당을 공식 탈당하고 무소속 후보로 대통령선거 출마를 선언함으로써 대선구도에 큰 변화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 전 총재는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한나라당 후보가 정권교체를 향한 국민의 열망에 부응해주기를 간절히 바랐으나 경선과정과 그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기대를 접을 수밖에 없었다”며 “정권교체만 되면 대통령이 누가 돼도 저절로 나라가 바로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지만 이는 환상이고 위태로운 생각”이라고 말했다. 자신이 몸담았던 한나라당 후보의 정강정책이나 자질로는 정권교체가 어려울 뿐 아니라 설령 집권에 성공하더라도 국가를 바로 이끌 수 없다는 것이 출마의 변이다. 이 전 총재는 이미 두 번이나 대선후보로 나선 거물인데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여전히 상당한 지지층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는 있다. 그러나 이 전 총재의 출마에 우려를 나타나는 국민이 적지않은 것도 사실이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누구든 대선에 출마하는 것은 자유지만 지난 1997년 대선에서 이인제 후보의 탈당으로 집권에 실패한 본인이 다시 보수세력의 분열을 가져올 수 있는 선택을 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경선불복을 막기 위해 현행 선거법에서는 당내 경선에 나섰던 사람의 출마를 금지하는데 이를 피해 무소속 후보로 나선 것은 정당정치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이 전 총재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에 대한 여권의 집요한 네거티브 공격을 실체가 드러나기도 전에 사실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이 후보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됐다. 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출마를 선언함으로써 정책선거를 더욱 어렵게 만든 점도 문제라 할 수 있다. 이 전 총재 측은 지난 두 차례의 선거를 통해 나온 정책을 조금만 가다듬으면 되므로 문제될 게 없다는 반응이지만 정강정책과 대선공약은 지도자를 선택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점에서 졸속이 돼서는 안 된다. 다만 이 전 총재가 “제가 선택한 길이 올바르지 않다는 국민적 판단이 분명해지면 언제라도 국민의 뜻을 받들어 살신성인의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한 것은 연대 또는 후보단일화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 전 총재의 대선 참여가 대선 향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국민의 판단과 선택에 달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