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심사강화 앞두고 유상증자 신청 급증

꼼꼼해진 심사 때문에 미리 유상증자 서두르는 기업 늘어<br>한계기업 많아 투자 주의 필요


금융감독당국이 상장사의 유상증자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면서 코스닥 기업들이 유상증자 일정을 대폭 앞당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실적이 부진한 12월 결산 법인들은 연말까지 자본금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12월 중에 증자에 나서는 사례가 많았으나 올들어 감독당국의 심사 강화로 유상증자 일정이 지연되자 11월로 앞당겨 증자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달 들어 22일까지 코스닥시장의 12월 결산법인 가운데 유상증자 결정 공시를 낸 곳은 34곳에 달했다. 이는 올들어 한 달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치다. 지난 2008~2009년의 같은 기간에 건수가 24건과 25건에 머물렀던 것을 볼 때 현격히 늘어난 것이다. 12월 결산법인들이 12월31일까지 자본금을 채워 넣기 위해 연말에 유상증자를 많이 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이 때문에 지난해까지는 마지막 달인 12월에 증자가 집중됐었다. 실제로 지난해까지 최근 2년 간 유상증자 결정 공시가 가장 많은 달은 12월이었다. 반면 올해는 11월의 공시건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아 한 달 앞서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유는 금융당국의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증자 일정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 금융감독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최근 증자를 추진한 기업 중 재무상황이 좋지 않은 한계기업이 많아져 심사를 꼼꼼히 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금감원은 코스닥업체가 제출한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해 지난 달과 이달에 각각 10건씩 ‘퇴짜’를 놓았다. 정정요구를 받을 때마다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주주배정 등의 일정을 고려해서 업체들이 당초 일정을 앞당겨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한국거래소(KRX)가 상장폐지 실질심사를 강화하고 있는 것도 기업들의 마음을 더 다급하게 하는 부분이다. 올 들어 이달 22일까지 코스닥시장에서 퇴출된 업체는 70곳으로 지난해 1년간 상장폐지 된 건수(65건)를 이미 넘어섰다. KRX 코스닥시장본부의 한 관계자는 “결산일까지 자본잠식률이 50%를 넘을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며 이듬해 6월까지도 이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자동 상장폐지 된다”고 설명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유상증자의 목적을 잘 살펴 신사업 확대가 아닌 상폐 모면을 위한 것이라면 투자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