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경 펀드닥터] 주식형 수익률 3.70% 채권형도 대체로 양호


전주 손실 만회하며 회복세

글로벌 경기회복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증시가 안정을 찾으면서 국내외 주식형펀드 수익률이 한주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이 20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국내 주식펀드는 한 주간 3.70%의 수익을 내며 전주(-3.48%)의 손실을 단숨에 만회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폭(3.36%)을 넘어서는 성적이다.

대형주를 중심으로 저가 매수세와 외국인의 프로그램 순매수세가 유입되며 코스피200지수는 3.54% 상승했고, 일반 주식펀드는 이보다 높은 3.80%의 성적을 기록했다. 코스피200인덱스 펀드는 추종지수와 유사한 3.51%의 수익률을 보였다. 중소형주식펀드는 3.23%의 성과를 기록, 대형주 중심 펀드의 강세에 눌렸다. 통신∙유통업 등의 내수업종도 상대적으로 부진하면서 배당주식펀드도 3.22%의 성적을 내 주식형 가운데 가장 저조했다.


개별 펀드별로는 ‘삼성KODEX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재간접]’ 펀드가 7.00%의 수익률로 주간 성과 1위를 차지했다. 코스피200지수가 크게 상승하며 이에 대해 2배의 레버리지를 키우는 전략에 따른 결과다.

관련기사



해외주식펀드도 브라질과 인도증시의 상승에 힘입어 한 주간 1.72%의 수익률을 보이며 한 주만에 플러스 성과로 돌아섰다. 브라질주식펀드의 강세에 남미신흥국주식펀드가 3.39%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그동안 부진했던 일본주식펀드까지 1.21%의 성과를 냈다. 섹터별로 살펴보면 금 가격 상승에 기초소재섹터펀드가 2.63% 수익률로 가장 양호한 성과를 기록했고, 소비재섹터펀드도 1.8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금융섹터펀드는 -0.04%의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펀드별로는 주요 금광업체들로 구성된 ‘신한BNPP골드 1[주식](종류A)’펀드가 4.69%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중국본토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하는 ‘산은차이나스페셜A주자[주식]’이 4.33%, 브라질주식펀드인 ‘산은삼바브라질 자[주식]A’가 3.8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장기물의 금리가 크게 하락하면서 중기채권펀드는 강세를 나타냈다. 외국인 및 장기투자자금 등 견조한 대기매수세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중장기 채권 금리 하락폭이 크게 나타나면서 중기채권펀드가 0.55%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우량채권펀드는 0.22%, 하이일드채권펀드는 0.16%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대체로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단 상대적으로 금리 변동에 둔감한 초단기채권펀드는 0.07%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조성욱∙서현정 제로인 펀드애널리스트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