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휴대인터넷 단말기 경쟁도 본격 점화

KT, 복합단말기 개발추진…SKT-하나로텔 '소형화' 전략

KT와 SK텔레콤, 하나로텔레콤이 휴대인터넷(와이브로)사업자로 공식 선정되면서 와이브로 단말기 시장을 겨냥한 삼성전자와 LG전자,팬택계열, 포스데이터 등 관련업체들 간의 와이브로 단말기 경쟁이 본격 점화됐다. 또 내년 상반기중 서비스 시작을 계기로 향후 천문학적인 규모로 불어날 와이브로 단말기 제조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통신-단말기업체들 간의 정보 및 기술협력 등상호 공조체제 구축도 한층 가속화되고 있다. 21일 정보통신부와 통신ㆍ단말기 업계에 따르면 와이브로 사업자 심사에서 1위에 오른 KT는 삼성전자, LG전자 등과 협력, CDMA(코드분할다중접속)와 무선랜,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 등과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멀티모드 복합 단말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SKTㆍ하나로텔레콤은 핸드셋(Handset) 개념의 소형 단말기 개발을 목표로 이들장비업체와 기능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등 단말기 확보에 전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연말 와이브로 단말기를 첫 출시한다는 방침 아래 현재 칩 개발과 안정화, 소형화 등의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빠른 속도로 구역과 구역을 이동하면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끊김현상'을 막기 위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금년 말까지 와이브로 단말기 제품이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망 테스트 등 본격 서비스에 대비하려면 연말까지 단말기를 내놓아야하는 입장이라며 현재의 상황으로 미뤄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유럽과 미국시장을 감안, 해외기술 표준인 `와이맥스' 관련 단말기 개발과 병행해 국내시장을 겨냥한 와이브로 단말기 개발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LG전자는 내년 2, 3분기중에 독자적인 모델의 와이브로 단말기를 선보일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해외시장 진출과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와이맥스 관련단말기 개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그러나 내수시장도 감안해야 하는 만큼내년 상용화 시점에 맞춰 와이브로 단말기를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 `빅3'의 하나인 팬택계열도 내년 와이브로 상용화 시기에 때맞춰 단말기를 선보이기로 하고 현재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SI(시스템통합) 업체인 포스데이터도 상당규모의 전문 인력을 확보, 단말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김권용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