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재정부 “물가상승, 인플레 심리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의할 것”

10월 그린북, ‘기준금리 인상 사실상 용인’ 해석도

기획재정부는 5일 “최근 기상악화로 상승한 물가가 인플레 심리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정부는 이 날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폭등하고 있는 물가관리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정부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그린북에서 언급한 것은 올 들어 이번이 처음이다. 8월 “경기회복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도록 거시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힌 정부는 지난달에는 “안정적인 회복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이라고 표현을 순화했고 이 달에는 “상승한 물가가 인플레 심리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의”하겠다고 적시했다. 10월 기준금리 인상을 정부가 사실상 용인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이를 바탕으로 힘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재정부 관계자는 “최근 물가상승의 주원인이 농축수산물 가격 폭등에 있는 만큼 수급안정 등 미시적 수단을 통해 물가관리를 하겠다는 의지”라며 금리인상과 연관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재정부는 최근 물가상승이 민간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일시적 요인이 해소되면서 향후 민간소비는 고용, 가계소득 증가 등에 힘입어 개선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이달 말 발표될 9월 소매판매 지표 역시 기상악화로 전달보다는 다소 부진하겠지만 전년동월대비로는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재정부는 최근 경제여건에 대해 “휴가철, 기상악화 등 일시적 요인으로 실물지표가 다소 부진했지만 전반적인 회복흐름은 이어지고 있다”며 “세계경제는 주요국 경기회복 지연소지, 환율 변동성 확대, 유럽 재정문제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재정부는 또 “하반기 이후에도 경기 및 고용 회복세가 지속되도록 거시정책을 운용할 것”이라며 “대외여건 급변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 최소화되도록 경제의 부문별 위험요인에 대한 점검 및 체질개선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9월 광공업생산은 수출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명절연휴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소폭 증가가 예상된다고 정부는 밝혔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수입, 투자심리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달의 큰 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을 받아 증가폭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건설투자 역시 선행지표 감소 등으로 다소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