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학방문 채용 “명문大 집중”

상반기 18개 기업서 36개大만 ‘캠퍼스 리크루팅’

기업이 대학을 직접 방문, 설명회를 갖거나 채용상담을 진행하는 캠퍼스 리크루팅이 명문대학에만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카우트는 올 상반기 캠퍼스 리크루팅을 실시한 18개 기업 및 그룹사를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벌인 결과, 한 기업(그룹)이 평균 11.5개 대학을 방문해 캠퍼스 리크루팅을 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18일 밝혔다. 그러나 이들 기업이 방문한 대학은 총 36곳에 그쳐 캠퍼스 리크루팅이 특정 대학에만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의 경우 전체 18개 기업 중 16곳의 캠퍼스 리크루팅 대상에 포함돼 있었던 반면 지방 사립대를 방문한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 또 3개 기업은 서울 소재 대학에서만 캠퍼스 리크루팅을 진행하고 지방대학은 아예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캠퍼스 리크루팅의 목적으로 우수 인재 선점(11개사)을 가장 먼저 거론했으며 나머지는 회사 및 채용일정 홍보라고 답했다. 그러나 기업의 이 같은 캠퍼스 리크루팅에 대해 절반이 넘는 대학생들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카우트가 대학생 993명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캠퍼스 리쿠르팅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58.0%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 중 72.4%는 ‘명문대 편중 현상’과 ‘학벌차별’을 그 이유로 들었고, 다음으로 ‘기업 홍보 중심’(20.3%), ‘유용한 정보 부재’(7.3%) 등이 지적됐다. 민병도 스카우트 대표이사는 “캠퍼스 리크루팅은 기업과 우수대학 입장에서 매우 유용한 제도라고 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비명문대 학생들에게 채용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차별정책이 될 수 있다”며 “대학을 떠나 우수 인재들이 균등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기업과 대학 내 제도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