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소비 늘어 봄바람 분다지만…

1분기 소매업·외식분야 뚜렷한 실적 개선속<br>"고용 회복 더뎌… 지갑열때 아니다" 지적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기 시작하면서 미국 경제에도 봄바람이 불고 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경기침체 기간 동안 보여줬던 '검약의 미덕'을 금세 잊어버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미국의 어닝시즌이 한창인 가운데 일반 소비자들과 가까운 소매업ㆍ외식분야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27일 보도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발표된 요식업체 치즈케이크팩토리의 1ㆍ4분기 실적은 전년 대비 86%나 급증했다. 고급침구류 업체인 템퍼페딕도 1ㆍ4분기 순익이 43%나 늘면서 예상치를 웃돌았다. 전문가들이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점쳤던 개인용컴퓨터(PC) 판매량도 5%가 늘어나는 기염을 토했다. 이 같은 소비심리의 부활이 앞으로도 쭉 이어질 것이란 목소리도 높다. 시장조사업체인 매크로이코노믹 어드바이저스는 미 재무부가 분기마다 발표하는 개인소비 지표가 1ㆍ4분기에 3.6%(전분기대비) 급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4ㆍ4분기 개인소비는 1.6% 오르는 데 그쳤었다. 26일 예상을 웃도는 발표한 캐터필러와 월풀 등 대형 제조업체들도 일제히 올해 실적 전망을 상향조정했다. 하지만 아직 지갑을 열 때가 아니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마크 잰디 무디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기회복이 예상보다 빨리 이뤄지고 있긴 하지만 고용상황은 느리게 개선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내내 9.7%에 머물러 있었던 미국의 실업률은 4월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잰디 이코노미스트는 또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전체 가계부채가 6,000억달러가량 줄어든 게 소비 증가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소비자들의 수입이 증가한 게 아니라 소비심리만 나아졌다는 이야기다. PNC파이낸셜서비스그룹의 스튜어트 호프먼 이코노미스트도 "과거 추이를 볼 때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7%에 달해야 옳다"며 "요즘 미국의 경기회복은 반쪽짜리 회복"이라고 밝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추이를 봤을 때 경기침체 종료 후 이듬해에는 경기 하락폭의 두 배 정도 되는 성장률을 보이기 마련이라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