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각료 재산 평균 31억3,800만원

고위공직자 103명 평균 22억8,200만원…1억미만 단 2명<br>윤리위, 재산신고 내역 공개

이명박 정부의 장ㆍ차관, 청와대 수석 등 1급 이상 고위공직자들의 재산(이하 본인ㆍ배우자 기준)이 평균 22억8,296만여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한승수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15명의 평균 재산은 31억3,800만여원으로 노무현 정부 마지막 내각(평균 20억9,000만여원)보다 10억원 이상 많았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4일 이명박 정부의 고위공직자 103명의 재산등록 신고내역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이들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은 사람은 354억7,401만여원을 신고한 이 대통령이었다. 재산의 사회환원을 약속한 이 대통령을 뺀 102명의 재산 평균액은 19억5,792만여원으로 이 대통령을 포함했을 때보다 14.2%(3억2,504만원)가 낮아졌다. 이 대통령과 류우익 대통령실장, 수석비서관 등 청와대 고위공직자 11명의 재산 평균액은 64억5,770만여원(이 대통령 제외시 35억5,610만여원)이었다. 한 총리는 21억1,341만원으로 신고, 총리를 포함한 국무위원 16명 가운데 8번째를 기록했다. 법무부ㆍ검찰 간부 13명의 평균 재산은 18억5,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재산을 1억원 미만으로 신고한 고위공직자는 최성룡 소방방재청장(4,558만여원), 김태석 여성부 기획조정실장(5,077만여원) 등 2명이었다. 이번 공개 대상자 103명 가운데 25명(24.3%)이 직계 존비속의 재산공개를 거부한 것으로 밝혀져 참여정부에 이어 이명박 정부에서도 공직자들의 ‘고지거부’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재산공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새로 임명돼 지난 18일까지 재산등록을 마친 ‘나 등급(옛 1급)’ 이상 고위공직자가 대상이며 신규등록이 필요없는 승진 임용자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윤리위는 오는 7월 말까지 신고내역을 심사해 허위ㆍ누락 등 불성실신고 사실이 드러나면 경고ㆍ해임ㆍ징계 요구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