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의료기관 처방약품수 미국·독일의 2배


의료기관들이 평균 4개 이상의 의약품을 처방하는 등 선진국에 비해 많은 약을 처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약 품목 수가 많으면 약물 이상 반응과 상호작용 등으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과다한 약품비용이 들어가 건강보험 재정에 부담을 줄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 2007년 2ㆍ4분기 의료기관의 처방 건당 약 품목 수를 평가한 결과 처방전 한건에 평균 4개 이상의 약을 처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21일 밝혔다. 의료기관별로는 종합전문병원(대학병원) 3.54개, 종합병원 4.41개, 병원 4.61개, 의원 4.8개 등으로 동네의원이 종합전문병원보다 약 1.3개 많았다. 한 처방전에 6개 품목 이상의 약제를 처방하는 비율도 종합전문병원 14.49%, 종합병원 19.49%, 병원 15.86%, 의원 18.84% 등을 기록했다. 김계숙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실장은 “원의 처방 건당 약 품목 수는 평균 4개 이상으로 선진국의 2개 정도에 비해 많다”고 지적했다. 주요 국가의 처방 건당 약 품목 수는 호주 2.16개, 미국 1.97개, 독일 1.98개, 이탈리아 1.98개, 일본 3개, 스페인 2.2개, 스위스 2.25개, 영국 3.83개, 프랑스 4.02개 등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