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인사이트펀드=몰빵은 오해"

"美에 자산운용사 설립할것" <br>최근 국내외 증시 급등락 <br>장기적으론 건강한 조정<br>中등 신흥시장 아직 유망


박현주(사진) 미래에셋 회장은 14일 “현재 국내외 증시가 당분간 등락 양상을 보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조정”이라며 “주식이나 펀드시장를 떠나야 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인사이트펀드에 대해서는 ‘몰빵 펀드’가 아니라고 강조하고 미래에셋으로의 ‘쏠림’에 대한 우려는 글로벌 관점에서 보면 미래에셋의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라고 해명했다. 박 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단기적인 증시 조정이 이어지겠지만 이는 건강한 조정으로 장기적인 호흡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신흥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박 회장은 현재 모건스탠리캐피털인덱스(MSCI) AC월드지수에서 미국의 비중이 40% 이상을 차지하지만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68%(구매력 평가 기준)으로 낮은 반면 중국의 경우 MSCI AC월드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9%에 불과하지만 GDP 비중은 17.73%에 달한다며 이 같은 자산배분상의 맹점을 보고 인사이트펀드를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사이트펀드의 투자전략은 장기적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인사이트펀드는 고객들에게 전문적인 자산배분을 도와준다는 취지로 기획됐다”며 “일정 수준의 수익을 달성하기 전까지는 안정성을 위주로 운용해나갈 것이며 철저히 높은 경쟁력을 갖춘 기업에만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장 여건이 안 좋아지면 수익을 고정시키는 전략을 취할 수도 있다”며 ”어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옵션전략 등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사이트펀드 운용과 관련해 박 회장은 “펀드의 기초자산은 주식으로 결정됐으며 올해 말까지 포트폴리오에 주식을 담아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의 투자비중은 전체의 10% 수준이 될 것”이라며 “지역을 분산하되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있는 종목에 투자 포커스를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회장은 이어 “펀드는 기본적으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단기간 손실에 집착하지 않고 장기투자에 나선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국내 투자자본이 해외로 이동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박 회장은 높이 평가했다. 그는 “투자자산이 해외로 분산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안정되는 등 국내 자본시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낳고 있다”며 “미래에셋은 지속적으로 해외비중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회장은 “미국에 자산운용사를 설립해 현지 투자자들에게 아시아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를 적극 소개할 예정”이라며 “인사이트펀드가 성공하면 미래에셋의 위상이 제고되는 계기가 될 것이고 어떤 글로벌 플레이어와도 경쟁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