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책과 세상] "금융위기 음모론적 시각은 픽션"

■화폐전쟁 3.0(윤채현 지음, 다산북스 펴냄)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계기로 세계각국이 달러 기축통화 질서에 도전하고 있다. 중동 산유국들은 달러를 대신할 수 있는 석유결제통화를 구상해왔고 유로지역 국가들은 유로화 지위를 강화하려고 해왔다. 일본, 중국 역시 아시아통화기금(AMF) 창설을 추진하기도 했고 지역을 초월해 이해관계에 따라 달러의 통화 질서에 도전하는 시도들도 나오고 있다. 반면 미국은 달러 기축통화질서가 무너지면 미국이 지배하던 달러패권 시대가 저물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세계 각국이 서로를 의심해 미국과 중국이 서로를 불신하고 유럽은 미국과 중국을 함께 비난하는 상황까지 생겼다. 수출 시장에서 한국과 경쟁하고 있는 일본은 우리나라 외환시장 개입에 대해 "한국이 G20 의장국으로서 책임을 다하지 않을 경우 추궁당할 수 있다"고 최근 공개적으로 경고하기도 했다. 11월 서울 G20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처럼 세계경제의 뜨거운 이슈였던 환율전쟁은 수그러든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저자는 환율전쟁의 불씨는 여전하며 세계 각국은 여전히 촉각을 세우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어 환율문제는 매우 유동적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세계 금융위기의 원인을 음모로 파악하는 관점의 오류를 지적하며 국제투기성 자본은 오랫동안 국제금융시장 생리에 익숙하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들보다 오히려 더 합리적인 투자자일 수 있다는 반론도 내세운다. 1990년 일본 증시 붕괴와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미국 및 금융재벌의 음모로 보는 것은 설득력이 적다는 주장이다. 저자는 "금융위기의 원인을 음모로 보는 것은 픽션"이라며 '화폐전쟁'의 저자 쑹훙빙이 제기하는 음모론도 비판한다. 국제 투기성 자본은 주식투자 손실과 환차손을 우려해 위험을 미리 관리하기 때문에 음모에 활용될 여지가 적다는 것. 예컨대 환율 상승으로 국내 주가가 30% 떨어졌다면 국제 투기성 자본은 주식투자 손실만 보는 것이 아니라 환율 상승에 따른 환차손도 보기 때문에 위험에 민감할 수밖에 없어 환율과 실물경제, 금융시장의 상호관계를 단지 활용하는 것일 뿐이라는 설명이다. 미국계 투기성 자본이 운영하는 펀드도 미국 국민의 돈이기 때문에 해당 국가의 경제 불안 요인이 대두되면 고객들이 환매를 요구한다는 점도 지적한다. 저자는 앞으로 국제경제 각축전에서는 환율이 과거보다 더 중요한 현안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하며 세계경제 및 국내경제는 환율변동 요인을 잘 파악해서 그 요인이 미칠 파장을 예상하고 전망해야 미래 화폐전쟁에서 승리 할수 있다고 지적한다. 2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