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불공정거래행위 다시 고개 드나

한국증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는 게 수요기반 취약이다. 주식 매수여력이 약하다는 것인데 그 주원인은 투자자들이 증시를 외면하기 때문이며 여기에는 시장에 대한 불신이 짙게 깔려 있다. 대주주의 모럴해저드, 주가상승을 틈탄 무차별적인 증자, 이른바 ‘작전’을 통한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행위가 판쳤던 게 과거 우리 증시의 모습이다. 불공정행위의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 개인투자자들에게 돌아갔고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증시는 믿을 수 없는 곳이라는 인식이 확산돼 투자자 이탈을 불러온 것이다. 최근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이런 악습이 재연되는 것 같아 걱정이다. 특히 코스닥시장의 혼탁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코스닥시장의 열기가 뜨겁던 지난 7월부터 이달 초까지 지분 5% 이상 대주주의 자사주 매각이 107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는 신제품 개발, 증자 등 호재성 재료 발표로 주가가 오르는 틈을 이용해 팔아치운 경우도 많아 작전 의혹마저 갖게 하고 있다. 또 주가상승만을 노린 사업목적 변경도 많다. 황우석 박사의 잇따른 개가에 편승한 바이오사업이 대표적 사례다. 대주주들의 회삿돈 횡령도 비일비재하다. 올들어 코스닥기업 대표이사의 횡령만도 15건에 이른다. 대주주 지분매각이나 횡령 등은 주가급락으로 이어지게 마련이고 내실 없는 사업목적 변경도 주가에 거품을 일으켜 결국 정보에 뒤처지는 개미들만 큰 피해를 입는다. 증시 호조기에 봇물처럼 쏟아지는 증자도 문제다. 올들어 지금까지 코스닥기업의 유상증자 결의는 244건으로 이미 지난해 한해의 241건을 훌쩍 넘었다. 자금조달을 위해 증자를 하는 것을 탓할 수는 없지만 ‘너도나도’식의 증자는 짚어봐야 할 일이다. 무차별적 증자는 시장에 물량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코스닥시장은 개인투자자들이 주류를 이루는 시장이라는 점에서 시장질서를 흐리는 행위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시장의 투명성이 떨어지면 투자자들은 또다시 증시에서 발길을 돌릴 게 뻔하고 증시의 안정적 발전은 요원해진다. 감독당국의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 기업들도 스스로 투명성 제고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