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7월 26일] 대기업-중기 자율적 상생경영 강화해야

중소기업들의 모기업에 대한 납품단가 현실화 수준이 글로벌 경제위기 때보다 오히려 뒷걸음질 한 것은 대기업들의 중소기업과의 상생경영이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208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지난 5월 실시한 납품단가 반영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원자재가격 상승분이 납품가격에 일부라도 반영됐다는 업체는 51.0%에 그쳤다.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44.2%나 됐다. 이 조사는 매년 실시되는 데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부터 위기상황이 지속된 작년 4월까지의 조사에서는 원자재가 상승분 반영 응답이 80.5%였고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업체는 17.0%였다. 경기와 경영여건이 어려울 때는 그렇다 쳐도 상황이 개선되면 납품가를 올려줘야 할 텐데 오히려 반대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지만 중소기업들이 ‘뭐가 좋아졌다는 거냐’고 앓는 소리를 하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그 동안 대기업들은 협력업체 지원을 내용으로 한 상생경영 프로그램을 가동해왔다. 납품대금 현금결제확대, 기술개발ㆍ품질관리 지원, 판로 및 시장개척 활동 등 다양한 지원에 나서고 있으며 일정부분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에게 그 어떤 지원책보다 간절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는 납품단가의 원자재가 반영이 저조하다는 것은 상생경영의 갈 길이 멀다는 반증이다. 납품단가 문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사정이 딴판인 기업양극화 심화의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기업은 실효성 있는 상생경영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기업이미지 악화와 정부개입을 부르기 마련이다. 최근 대통령의 대기업의 사회적 역할 강조와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거래행위 특별조사 착수는 시사하는 바 크다. 상생은 대기업 스스로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반 대기업정서 해소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협력업체가 강해야 모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납품단가와 구매관행 등에 대해 대대적인 자체조사에 들어갔으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상생협력 틀을 마련키로 한 것도 이런 맥락으로 이해된다. 자율적 상생노력이 재계에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