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가구 83% "월소득 불충분"

실제수입 평균 330만원으로<br>희망소득 344만원에 못미쳐

SetSectionName(); 서울가구 83% "월소득 불충분" 실제수입 평균 330만원으로희망소득 344만원에 못미쳐 김능현기자 nhkimchn@sed.co.kr

서울 시민은 여유 있는 생활을 위해 가구당 최소 생활비로 월평균 344만4,000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약 83%에 이르는 가구의 소득이 이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복지재단은 지난해 3~5월 무작위로 추출한 시내 3,665가구(평균 가구원 3.09명)의 15세 이상 가구원 7,761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 같은 답변을 얻었다고 23일 밝혔다. 조사 대상 중 '근로소득이 있다'고 답한 가구는 3,029가구(82.6%)로 이들 가구는 월평균 근로소득이 330만원이라고 답했다. 여유 있게 살기 위해 필요한 344만4,000원에 다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 1년(2008년) 동안 생활비가 부족해 돈을 빌린 경험이 있다'고 답한 가구는 전체의 7.3%, '돈이 없어 겨울에 난방을 못했다'는 가구도 4.0%나 됐다. 2008년에 가구원 중 일자리를 잃거나 사업상 큰 손해를 입었다는 가구도 11.6%나 됐다.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를 신청한 경험이 있는 가구는 전체의 7.3%에 달했으며 수급자 선정에서 탈락한 가구는 '부양의무자나 친지ㆍ이웃의 도움(32.2%)'을 받거나 '빚을 내 생활(12.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한 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자의 72%는 `수급자 위치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답해 양극화 현상이 고착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최저생계비 200% 이하(4인 가족 기준 265만원 이하) 가구의 조사에서는 57.9%가 `현재 버는 수입으로 생활하기 어렵다'고 했으며 '현재 일자리를 곧 그만두게 될 것 같다'는 응답도 20.8%에 달해 저소득층 일자리안정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복지재단은 이날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회 서울시 복지패널 학술대회'를 열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서울형 복지모델' 발전방향을 논의했다. [이런일도… 부동산시장 뒤집어보기] 전체보기│ [실전재테크 지상상담 Q&A] 전체보기 [궁금하세요? 부동산·재개발 Q&A] 전체보기│ [알쏭달쏭 재개발투자 Q&A] 전체보기 [증시 대박? 곽중보의 기술적 분석] 전체보기│ [전문가의 조언, 생생 재테크] 전체보기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