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외시 2부' 합격자 41%가 외교부 고위직 자녀

국감 자료, 22명 중 9명…특별채용 포함하면 16명

외교통상부가 ‘외무고시 2부시험’을 통해 7년간(1997~2003년) 선발한 22명 가운데 9명(41%)이 전ㆍ현직 장ㆍ차관과 3급 이상 고위직 자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특별채용으로 들어온 7명 중에는 전직 대사를 포함해 고위직 자녀 4명이 2등 서기관과 과장으로 재직 중이며, 유명환 장관의 딸을 포함한 3명은 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홍정욱(한나라당) 의원은 외교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외시 2부시험은 외무공무원 선발전형 가운데 하나였는데 시험과목이 6개(1차 2, 2차 4과목)로 11개(1차 5, 2차 6과목)인 1부시험보다 훨씬 적은데다 ‘외국에서 초등학교 이상 정규과정 6년 이상 이수자’로 응시자격을 제한, 형평성 논란 끝에 폐지됐다. 외교부는 2004년부터 시험 과목은 일반분야와 동일하지만 2차 시험 필수과목을 영어로 평가하는 ‘영어능통자 전형’으로 대체해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외교부 고위직 자녀들이 외시 2부시험이나 특별채용으로 상당수 진출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혜 의혹과 함께 ▦2013년 외시 폐지 ▦'외교아카데미'를 통한 외교관 선발제도 시행을 둘러싼 투명성 논란이 불거질 전망이다. 홍 의원은 "언어능력과 외교적 감각을 갖춘 외교관 자녀를 역차별할 필요는 없지만 특정 전형 합격자의 41%가 외교관 자녀라면 국민정서상 수용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제도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