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합병비율 놓고 통합거래소 출범 '진통'

선물업계 "미래가치 반영"‥통합실무반 "수용 불가"

합병비율 상향조정에 대한 선물업계의 요구가 거세지면서 통합거래소 출범이 난항을 겪고 있다. 28일 증권 및 선물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선물시장 통합 실무 준비반은 회계법인과 법무법인 등의 의견을 인용, 통합거래소 합병 비율 산정시 미래 수익가치를 반영해야 한다는 선물업계의 주장은 객관적 근거가 희박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분명히 밝혔다. 이같은 통합실무반의 결론을 선물업계가 받아들이지 않고 다음달 초에 열릴 선물거래소 이사회가 통합안을 결의하지 않거나 이사회가 결의하더라도 선물거래소 회원(사) 총회가 이를 거부할 경우 통합거래소 출범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없는 상황이다. ◆선물업계 "합병비율 산정시 미래 수익가치 반영해야" 오는 9월 출범 예정인 증권선물통합거래소는 증권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 선물거래소를 합쳐 하나의 주식회사 형태로 설립됨에 따라 통합대상 유관기관의 현재 주주나 회원사들은 일정 기준을 통해 산출된 비율로 통합거래소의 지분을 나눠갖게 된다. 통합 실무반이 회계법인에 용역을 맡겨 산출한 합병비율은 증권거래소 84%, 코스닥 12%, 선물거래소 4% 수준이다. 그러나 이같은 합병 비율에 대해 선물거래소의 현 회원인 선물회사들은 "비율산정시 단순히 현재 자산가치만을 반영하고 KOSPI200 선물 등 주가지수 선물의 미래수익 가치가 고려되지 않은 만큼 4%에 불과한 선물거래소측 지분율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들은 유럽 5개국 통합거래소인 '유로넥스트'의 통합 당시 합병비율 산정에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 미래수익가치를 반영한 사례를 근거로 들고 있다. ◆통합실무반 "객관적 미래가치 평가 불가능" 통합실무반은 이같은 선물업계의 주장에 대해 "미래 수익 가치와 관련, 장래의주가 및 거래량 추정 등에 대한 객관성 확보가 어렵다"는 회계법인들의 지적을 반박의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기준일에 실제 존재하는 자산 및 부채를 기준으로 합병 비율을 산정하는 '순자산 공정가액법'이 객관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월등히 우월하다는 설명이다. 통합실무반은 또 "미래가치는 영리 추구 기업이 향후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투입한 부분에 대해 평가하는 것으로서, 이번 시장통합과 같이 국가가정책적 결정에 따라 부여한 업무와 독점적 지위로부터 얻는 반사적 이익에 대해 적용하기 힘들다"는 법무법인들의 해석도 덧붙이고 있다. 지분율이 낮아 통합거래소에 대한 선물업계의 영향력이 약해질 것이라는 선물회사들의 주장에 대해서도 "통합거래소의 주주 지위(지분권)는 자유로이 거래, 이전될수 있는 것으로 시장운영에 대한 영향력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면서 "경영참여 등영향력 행사는 각 시장별 소위원회 등을 통해 충분히 가능하다"고 반박하고 있다. ◆내달초 선물거래소 이사회 결의가 관건 예정대로라면 통합 유관기관들은 이달말 개최되는 '통합거래소 설립 준비위원회'에서 최종 의견 조율을 거친 뒤 다음달 5~6일에 걸쳐 기관별로 이사회를 열고 통합안을 결의하게 된다. 이사회 결의를 근거로 다음달 7일께는 통합 대상기관들간의 합병계약서가 체결되며 이후 각 기관은 주총과 회원총회 등을 통해 이에 대한 승인을 얻어 합병 절차를 마무리한다. 그러나 선물업계의 지분율 상향 조정 요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지난 25일에는그동안 선물업계로부터 낮은 통합거래소 지분율에 대해 책임 추궁을 당해 온 강정호선물거래소 이사장이 돌연 사임함에 따라 당장 선물거래소 이사회의 통합안 승인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정병기 통합실무반장은 "선물업계가 주장하는 미래가치 반영과 지분율 상향조정은 근거가 없는 것"이라며 "증권거래소와 코스닥시장 등 여타 기관들이라고 미래 가치가 없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여러가지 어려운 상황에서도 선물거래소 이사회가 결국 현명하게 판단하고 통합 결의에 응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시간이 지체될 수록 관련 기관 내부의 동요가 커지는 만큼 조속히 통합 작업이 마무리돼야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