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리 올랐지만 주택대출은 늘어

뒷북인상에 정책효과 반감


한국은행이 지난달 모처럼 기준금리를 올렸지만 정작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은 1년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로 주택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반영된 결과이기는 하나 기준금리 인상의 약효가 그만큼 거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은행권 수신 역시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화 당국이 제때 금리정책을 쓰지 못하고 뒷북을 계속 친 것이 시장을 거꾸로 가게 한 요인이다. 한은이 8일 내놓은 '11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지난 10월 2조7,000억원에서 11월에는 4조1,000억원으로 커졌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은 8월 3,000억원 감소에서 9월 1조7,000억원 증가로 돌아서더니 10월 2조2,000억원으로 증가폭을 키우고 11월에는 그 폭이 2조9,000억원까지 확대됐다. 지난달의 증가폭은 지난해 7월의 3조4,000억원 이후 가장 크다. 여기에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과 은행 대출채권 양도분까지 포함하면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3조5,000억원에 이른다. 내년 초 또 한번의 금리인상이 예고됐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오름세가 예상되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지금의 주택대출 급증이 더 큰 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비등하고 있다. 통화정책의 효과가 희석된 것은 수신에서도 나타났다. 은행 수신은 정기예금이 올 들어 처음으로 줄면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10월 13조7,000억원 늘었던 은행 수신은 지난달 2조4,000억원 감소로 바뀌었다. 특히 10조원 넘게 급증했던 정기예금이 2조5,000억원 감소로 돌아선 것이 눈에 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일부 시중은행들이 돈이 남아 돌면서 거액 예금유치를 자제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같이 발표된 '10월 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서는 시중통화량 증가세가 4개월째 둔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10월 광의통화(M2ㆍ평균 잔액 기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7.6% 늘어 2006년 8월(7.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