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전자, 출시서 단종까지 '제품 생애주기' 관리

'제품 출시부터 단종까지' 차세대 관리시스템 구축


SetSectionName(); 삼성전자, 출시서 단종까지 '제품 생애주기' 관리 차세대 PLM시스템 개발… 시장·고객변화 대응력 높여 이종배기자 ljb@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삼성전자 시장 및 고객 변화 대응력 높인다 차세대 PLM(제품수명주기관리) 시스템 개발 완료해 도입… 제품 기획부터 단종에 이르기 까지 제품 생애 전 주기 관리하는 차세대 시스템… 빠르게 변화는 시장 및 고객 니즈에 대응,,, 스피드 경영 한층 속도 삼성전자가 출시부터 단종까지 제품의 생애 전주기를 관리하는 차세대 시스템을 구축해 적용한다. 이 시스템을 적용하면 시장의 빠른 변화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삼성전자의 스피드 경영이 속도를 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삼성SDS와 추진해온 차세대 제품수명주기관리(PLMㆍ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 개발 1단계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7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PLM은 제품 기획단계부터 단종에 이르기까지 생애 전주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제품 개발단계부터 여러 부서의 지식을 공유하고 축적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적기 출시, 히트 상품의 후속모델 출시 시기, 제품의 단종 및 재고 관리 등이 가능하다. 한마디로 제품 출시 이전부터 단종에 이르기까지 전주기를 관리, 이를 통해 빠르게 변화는 시장과 수요자의 니즈에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삼성전자의 차세대 PLM은 전사 차원에서 단일 시스템으로 구축될 것으로 알려졌다. 개발 부문과 생산ㆍ마케팅ㆍ영업 등 타 부문과 제품수명주기(PLC)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경영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형태로 구축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 선두기업과 경쟁하는 만큼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마케팅ㆍ생산 등 관련부문 간 정보연계 수준을 높이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삼성전자의 차세대 PLM은 이 같은 취지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차세대 PLM 시스템하에서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 경쟁사 제품에 대한 삼성전자의 대응체제가 더욱 강화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 생산ㆍ마케팅ㆍ영업ㆍ연구개발 등 부서 간 벽을 허물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차세대 융합제품 출시 등도 기대된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