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새정부 청와대 수석 인선 살펴보면…

능력위주·젊은 피 수혈 "실용주의 인사"<br>대부분 전문가그룹 '소장인사' …60대 2명 그쳐<br>"지역안배 미흡하고 교수출신 너무 많아" 비판도



이명박(MB) 대통령 당선인은 10일 발표된 차기 정부의 대통령실(현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선에서 능력 위주, ‘젊은 피’ 수혈 등 실용적인 인사스타일을 보여줬다. 그러나 실용 위주의 인선에 비중을 둬 지역적으로 호남ㆍ충청 출신이 한명도 없었다. 게다가 행정경험이 부족한 학자 중심으로 MB 참모진용이 꾸려져 안정적이고 경륜 있는 국정운영을 걱정하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수석은 젊은 피, 내각은 경륜 중시=이 당선인은 이날 수석인선 결과를 발표하면서 “자신과 함께 협력해 일할 능력 있고 국가관이 투철한 사람들, 내각에 비해 비교적 젊은 층을 수석으로 선택했다”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수석 인선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역대 어느 수석비서관 진용보다 젊은 층으로 짜여졌다는 점이다. 국정운영의 중심을 ‘내각’으로 천명한 이 당선인의 인선원칙에 따라 청와대 수석진은 전문가 그룹들인 ‘소장’ 인사들로 대부분 채워졌다. 실제 40대 수석 내정자는 김병국 외교안보수석(48)과 박미석 사회정책수석(49), 이주호 교육과학문화수석(47), 곽승준 국정기획수석(47) 등 4명이고 박재완 정무수석(53)과 이동관 대변인(50)도 50대 초반으로 젊다. 60대는 김중수 경제수석(60)과 이종찬 민정수석(61) 등 2명에 불과하다. ◇정무수석 논란 끝 ‘박재완 카드’로=이 당선인이 수석 인선을 놓고 막판까지 고심했던 정무수석 자리에는 결국 ‘박재완 카드’가 쓰여졌다. 정부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고 국회와 정부를 무리 없이 조율할 수 있는 적합한 인물이라는 점이 결정적 요인이었다. 인수위에서 정부조직 개편작업을 담당한 정부혁신 TF팀장으로 있는 박 의원은 당초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이 유력한 것으로 점쳐졌으나 마땅한 정무수석감을 찾지 못해 전체적인 청와대 수석 인선작업이 지체되면서 다른 경쟁자들을 제치고 막판 부상했다. 이 당선인도 이날 수석인선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박 수석은 일찌감치 맘에 두고 있었다”며 “업무를 다방면으로 잘 포함하고 청와대와 내각ㆍ국회가 서로 거부반응 없는 성품의 소유자”라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박 의원의 경우 특히 현안이 되고 있는 정부조직개편안과 관련해 보여준 범여권과의 협상력도 이번 인선에 중요한 가점 요인이 됐다. 박 의원도 정무수석 내정 후 “정부와 당ㆍ국회ㆍ청와대 사이의 가교 역할을 착실히 하겠다”며 “20% 차이에 집착하기보다는 80%의 공통분모를 확대 재생산해 생산적인 정치를 통해 국민에게 희망을 주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지역 안배 부족, 지나친 학자 중심 비판도=이날 수석인선은 지역적으로는 호남ㆍ충청 출신 인사가 한명도 없다는 점과 직업군으로는 지나치게 교수 중심으로 짜여졌다는 비판도 받았다. 이 당선인의 실용 위주의 인사스타일 때문에 이 같은 인선은 어느 정도 예상됐지만 막상 인선결과가 발표되고 난 후 이 같은 비판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물론 수석인선을 하면서 산술적인 지역 안배만이 능사는 아니나 한나라당과 이 당선인이 대선기간 강조했던 지역 ‘탕평인사’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어 보인다는 것이 비판론자들의 논지이다. 사회정책수석으로는 당초 예상하지 못했던 박미석 숙명여대 교수가 기용돼 주목을 받았다. 박 수석은 이 당선인과 같은 소망교회 인맥으로 분류되며 서울시장직인수위원회와 서울복지재단 활동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데다 여성부 폐지에 반발하고 있는 여성계를 달래기 위한 막판 선택이었다는 후문이다. 여기다 지나친 학자(교수) 중심 인선도 논란거리다. 국정운영의 최고 컨트롤타워와 조정 역할을 해야 하는 7명의 수석 중 이종찬 민정수석을 제외한 6명이 교수 출신인 것은 지나치다는 평가다. 특히 과거 정부에서 교수 출신 수석들이 행정부 조직과 불화했던 경험 등을 감안하면 교수 출신이 너무 많다는 것이 새 정부의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과거 청와대 홍보수석이 맡았던 업무는 정무수석, 대변인실, 국정홍보처를 흡수한 문화관광부가 분담하게 됐다. 이 당선인은 “홍보 측면은 정무수석실이 하겠지만 대변인실ㆍ문화부도 있기 때문에 국정홍보처 같은 역할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