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비인격적 대우·편애에 가장 불만

초·중·고생 대상 교원평가제 시범실시 결과

학생들은 교사의 수업능력보다는 인격적인 대우나 편애 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만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인적자원부가 6일 발표한 교원평가제 시범실시 결과에 따르면 ‘선생님의 수업내용은 유익하고 성적향상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초등생의 66.3%, 중학생의 66.4%, 고교생의 62%가 각각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이 질문에 대한 불만족 비율은 초등학생 8.7%, 중학생 10.8%, 고교생 12.1%였다. 그러나 ‘선생님이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대우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초등생의 11.7%, 중학생의 9.4%, 고교생의 15.8%가 불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편애하지 않고 공정하게 대우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초등생의 10.8%, 중학생의 13.3%, 고교생의 16.8%가 불만족한다고 각각 응답했다. 학부모를 상대로 한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불만족’ 비율이 초등학교 10%, 중학교 12.4%, 고교 12.6%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2학기 교원평가제를 시범실시한 전국 48개 초ㆍ중ㆍ고교의 교원ㆍ학부모ㆍ학생 등 1,500여명을 대상으로 했다. 교육부는 2차 시범운영이 마무리되는 8월 이후 교직단체, 학부모 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해 교원평가 모델을 마련, 확대방안 등을 검토키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