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노사합의로 비정규직 해결한 우리은행

우리은행이 자율적 노사합의를 통해 비정규직 문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단안을 내렸다. 우리은행 노사는 3,100명에 이르는 비정규직을 내년 3월부터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하기로 전격 합의하고 앞으로 비정규직도 채용하지 않기로 했다. 아예 비정규직 자체를 없애기로 한 것이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정규직은 일단 복리후생 혜택부터 정규직과 동일하게 대우하되 급여는 순차적으로 상향 조정해 나가기로 했다. 난제 중의 난제인 비정규직 문제를 이처럼 단번에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은 임금동결의 형태로 정규직 노조의 이해와 양보가 있었기 때문이다. 정규직 노조가 이미 임단협에서 합의한 정규직 임금상승분 250억원을 포기함으로써 비정규직의 복리후생 개선에 투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우리은행은 정규직 증가로 대주주인 예금보호공사와의 경영이행약정(MOU) 관리목표상 1인당 조정영업이익이 다소 줄어들기는 하지만 양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은행이 단행한 비정규직의 일괄 정규직화는 은행권은 물론 전 산업계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그리고 고용 및 노사문제의 최대 현안인 비정규직 문제를 별다른 진통 없이 노사자율로 해소함으로써 다른 기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한 노동을 하면서도 임금이나 복리후생비에서 심할 경우 정규직의 절반정도 밖에 안 되는 비정규직은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구조조정을 손쉽게 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순기능을 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노동시장의 유연성제고라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전체 근로자의 36.6%로 548만명이나 되는 비정규직은 우리 사회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사회적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비정규직 법안이 내년 7월부터 발효되면 2년마다 비정규직을 교체해야 하는 부담도 덜 수 있게 됐다. 또 전직원의 정규직화는 사기와 결속력 강화라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다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인건비 증대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므로 생산성 증대를 통해 비용증대를 상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또한 비정규직 없이 정규직만으로 고용구조가 바뀔 경우 고용유연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도 남은 숙제이다. 비정규직 문제를 단번에 해결한 노사협조정신을 바탕으로 우리은행이 일류 은행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