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美, 오바마 시대] 금융시장 영향은
입력2008.11.05 17:15:14
수정
2008.11.05 17:15:14
"강력한 위기대응으로 금융불안 해소 가속도" 기대<br>집권초기 역량 총동원 시스템 조속 복구 예상<br>추가 자금지원 가능성 높아진것도 긍정적<br>"시장에 선반영…효과 제한적" 신중론도 제기
| 증시'웰컴! 오바마'
투자자들이 5일 서울 목동의 한 증권사 객장에서 TV에서 흘러나오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연설을 들으면서 상승하는 주가를 보고 있다. /이호재기자 |
|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직후 집권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집권 초기의 강력한 리더십으로 조기에 위기를 극복했다. 미국의 이번 대선 환경은 10여년 전의 데자부라고 할 정도로 흡사하다. 버락 오바마 민주당 후보의 대통령 당선이 금융시장에 대한 통제력과 신뢰를 상실한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대의 종말을 의미한다는 것만으로도 글로벌 금융불안을 해소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부시 행정부의 레임덕이 끝나고 미국이 정책 추진을 위한 강력한 리더십을 갖추게 됐다는 점에서 미국은 물론 전세계 금융시스템 복구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한미 간 3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한 후 경색이 풀릴 조짐을 보이는 국내 금융시장 역시 오바마의 당선을 계기로 회복세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박상용 연세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민주당 후보의 당선으로 위기재발 방지를 위한 강도 높은 금융개혁이 예상된다”며 “무엇보다 제 역할을 못했던 부시 대통령의 ‘행정적 공백’이 메워지고 당선인의 금융위기 대책에 힘이 쏠리게 된다는 점에서 이번 대선 결과가 미국 시장, 나아가 전세계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대는 이미 전날 세계 증시에서 한발 앞서 반영됐다. 4일(현지시간) 미 다우존스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3~4%대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을 비롯, 영국 FTSE 100지수가 4.42%, 프랑스 CAC40지수는 4.62%, 독일 DAX지수는 5.0% 상승 마감하는 등 강력한 리더십을 갖춘 미국 대통령 탄생에 대한 기대감으로 각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특히 공화당 집권기에 발생한 금융위기가 전세계로 확산된 시점에 새 대통령으로 등장하게 된 오바마 당선자는 이번 위기 해결에 집권 초기의 역량을 총동원할 것으로 예상돼 미국 금융시장의 빠른 안정이 예상된다. 박재하 금융연구원 부원장은 “금융위기를 만든 정권이 수습까지 해야 할 경우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지만 새 정권이 들어서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997년 당시 집권 말기의 리더십 부재로 외환위기를 맞이한 우리나라가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집권 이후 일사분란한 위기 대응에 성공했던 것과 유사한 과정이 미국 금융시장에서도 전개되리라는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앙지이기도 한 미국의 시장 안정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글로벌 금융불안의 불길이 잡히는 것을 의미한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새 대통령이 구심점이 되는 미국의 위기대응 능력 강화는 세계 금융위기 해결에 엄청난 호재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지금의 금융불안이 국내 요인이 아닌 대외적 요인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오바마의 당선은 시장 정상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불안을 타개하기 위한 오바마의 단기 처방은 부시 정권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추가적인 자금지원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도 우리 경제에 긍정적이다. 전문가들은 민주당이 지난달 구제금융법안 추진에 보다 적극적이었고 정부 개입을 통한 시장 안정 및 감독 강화 의지가 강하다는 점에서 필요한 경우 오바마 정부가 의회의 동조하에 추가 자금지원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오바마 당선 효과가 금융시장에 미리 반영된데다 단기적인 금융정책의 차별화가 쉽지 않은 만큼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오용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금융팀장은 “금융 부문에서는 지금까지의 흐름을 크게 벗어나는 정책이 나올 것 같지 않다”며 “오바마의 당선이 기정 사실화됐던 만큼 시장 흐름에 큰 변화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통적으로 재정균형을 추구하는 민주당 정권이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불어난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증세와 긴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우리 경제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