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중공업, 극지용 LNG선ㆍFPSO 기술개발 나서

현대중공업이 극지방용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부유식천연가스생산저장설비(LNG-FPSO)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에 나선다. 현대중공업은 23일 세계 최초로 극지방용 LNG선 탱크 용접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지식경제부로부터 ‘초대형 알루미늄 극후판 LNG 탱크 제조 기술’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기술 개발을 위해 오는 2015년까지 총 190억원을 투입한다. 회사의 한 관계자는 “최근 북극해 등 극지방에서 천연가스를 개발하려는 각국의 관심이 높아져 향후 극지 운항에 적합한 LNG선 및 LNG-FPSO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장기적인 판단에 따라 기술 개발에 나거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북극해는 전세계 가스 매장량의 30%인 약 440억 배럴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번 개발의 핵심은 LNG선 탱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후판에 적합한 특수용접 시스템을 만드는 내용이다. 극지방에는 빙벽이 많아 알루미늄 후판도 기존 50㎜서 최대 70㎜까지 증가한 ‘극(極)후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고난도의 용접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속도를 높이고, 결함은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용접장비를 개발해 용접 생산성을 30% 이상 높이고 향후 북극해 천연가스 개발에 필요한 LNG선 및 LNG-FPSO 수주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한다는 계호기이다. 김대순 현대중공업 산업기술연구소 상무는 “용접이라는 ‘기초’가 튼튼해야 좋은 품질의 선박이 나올 수 있다”면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새로운 시장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내기 위한 기술을 꾸준히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지난 1994년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LNG선을 건조한 이래 지금까지 총 37척을 만들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구형(Moss)과 멤브레인형 LNG선 건조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기도 하다. 지난 2003년에는 세계 최초로 플라즈마 자동용접기법을 LNG선 건조에 적용한 바 있으며 2007년에는 국내 최초로 전기추진 LNG선을 건조하는 등 세계 시장을 선도해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