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신공룡시대]<하>성공한 제휴, 실패한 제휴

기업 이질문화 융합못하면 연합전력 한순간 '와르르'기업간의 연합전선 구축이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시장의 변화를 잘못 읽으면 아무리 쟁쟁한 파트너와 손잡는다 해도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주저앉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특히 기업간 이질적인 문화를 융합시키지 못할 경우 거창한 명분과 목적을 갖고 마련된 '기업 연합군'은 한순간 오합지졸로 표변한다. ■ 윈-윈 관계 이뤄져야 기업연합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파트너 간에 과실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심지어 막강한 연합전선을 구축하기까지 치뤄야 할 희생이나 손실도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 지난해 국내 최강인 삼성ㆍ현대ㆍ포철ㆍ한국통신ㆍ한진은 각종 비품과 소모성자재 등을 보다 저렴하고 원활하게 구매, 관리하자는 목표 아래 '5대그룹 공동 MRO(기업 소모성자재) 구매를 위한 B2B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개별 그룹이나 기업단위의 거래금액만도 한해 수천억원을 훌쩍 웃돌 정도여서 5대그룹의 공동 MRO 구매 제휴는 시작부터 당연히 성공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이 제휴는 그룹 관계사들 사이의 거래규모만 연간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핵심멤버 삼성이 탈퇴하면서 시들해졌다. "기업 규모가 크면 클수록 갈등을 빚을 가능성은 높다. 특히 '기업 연합'의 과실이 탐스럽다면 제휴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워진다". MRO 제휴에 동참했던 모 그룹 관계자 말이다. 실제로 삼성은 5대그룹 MRO제휴에서 철수하자마자 독자적으로 그룹 공동MRO를 위한 B2B 사업을 펼쳤다. B2B에 의한 수익률을 10%만 잡는다해도 연간 3,000억원이란 엄청난 이익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 비전을 공유하라 기업간 연합전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맴버들간에 미래시장에 대한 공감대가 필요하다. 불투명한 미래를 같이 헤쳐나가기 위한 비전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최우선이라는 인식은 선행조건. 삼양사와 SK케미칼의 화섬통합법인인 휴비스는 기업간 연합전선 구축에 어떤 요소가 필요한지를 잘 보여준다. 김윤 삼양사 부회장과 최태원 SK회장은 지난해초 세계적인 화섬공급 과잉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놓고 고심한 끝에 양사 화섬부문의 자율통합에 합의, 그해 11월 통합법인을 출범시켰다. 통합법인 경영을 책임질 대표자리를 놓고도 단 한차례의 실갱이 없이 조민호 당시 SK케미칼 부회장을 추대하기로 결정했다. 휴비스는 올해같은 사상 초유의 화섬불황 속에서도 상반기 매출 4,700억원에 경상이익 156억원을 기록하는 성공을 거뒀다. 이 회사 관계자는 "같이 살아야 한다는 연대의식, 보다 큰 과실을 위해서 작은 손실은 감수하겠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생존을 위한 전략과 미래의 비전을 철저하게 공유한 것이 이질적인 연합체를 강력한 군단으로 만든 셈이다. ■ 책임주체가 명확해야 지난 99년 한화와 대림이 국제통화기금(IMF) 체제에서 생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율합의에 의해 출범시킨 여천NCC. 양사가 오랜 경쟁관계를 청산하고 동반자 관계로 전환한다는 점에서 여천NCC는 출범초 큰 관심을 끌었지만 2년도 채안돼 내부마찰이 외부에 공개적으로 드러날 정도로 삐거덕 거리고 있다. 노조파업이라는 문제에 직면하면서 양측이 '한화식'과 '대림식'이라는 확연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낸 것. 업계 관계자는 "양측 모두 결별에 따른 피해가 막대하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 최악의 선택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통합법인 출범 당시의 공동목표에서 상당히 거리가 있는 상태로 퇴행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 제도정비 시급하다 일본 이동통신회사인 NTT도코모와 전략적 제휴를 진행하고 있는 SK㈜는 최근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는 지지부진한 상황에 빠졌다. 계열사인 SK텔레콤 지분을 NTT도코모 측에 매각할 때 글로벌 연합이 완성되는 것이지만 출자총액한도 제한이라는 국내법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SK텔레콤의 대주주인 SK㈜는 현재 출자총액 한도를 초과해 내년 3월까지 초과지분을 정리해야 할 형편이다. 이를 너무 잘 아는 NTT도코모 측은 지분을 가능한 싼 값에 인수하기위해 제휴를 지연하고 있는 것. SK그룹 관계자는 "세계는 물론 국내에도 이제 전략적 제휴가 일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을 반영한 제도가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인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