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출생시 체중 미달때 성인 당뇨병 잘 걸려

출생시 체중이 표준 미달이면 제2형 당뇨병(성인당뇨병)에 잘 걸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슬린 당뇨병센터 매리-엘리자베스 패티 박사는 '당뇨병'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임신 후반기 모체로부터 영양을 제대로 공급 받지 못한 태아는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도(島)세포에 비정상 기능이 입력돼 성장과정에서 성인당뇨병 발병위험이 크게 높아진다고 밝혔다. 패티 박사는 태아에 영양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 도세포가 영구적인 손상을 입는데 그 영향은 10대 또는 성년이 될 때까지도 나타나지 않다가 훨씬 나중에 당뇨병 증세로 표출된다는 사실이 쥐 실험을 통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새끼를 밴 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3주간의 임신기간 내내 마음껏 먹이를 먹게 하고, 다른 그룹엔 첫 2주간만 충분히 먹이고 마지막 1주간은 먹이를 제한했다. 그 결과 생후 4개월이 되자 영양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은 쥐들은 혈당이 올라가기 시작해 6개월이 되었을 때는 완전한 당뇨병 환자와 맞먹는 수준까지 혈당이 치솟았다. 패티 박사는 임신 중 영양부족이 자녀를 영구적으로 당뇨병 위험에 빠지게 한다는 사실을 일반인이나 의사 모두 알아야 하며 특히 저체중아를 출산했을 때는 이 아이가 나중 성인이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인슐린 내성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리 운동과 체중조절 등 적절한 예방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아이가 나중에 과체중이 된다면 인슐린 분비 부족에 인슐린 내성까지 겹쳐 이중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고 그는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