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숙원사업 대선공약화" 지자체들 발벗고 뛴다

"채택되면 현안해결 쉽다" 후보·정당에 전달, 채택 압박


“지자체 숙원사업, 대선 공약화를 통해 해결하자.” 오는 12월 대선을 앞두고 각 지자체들이 지역 숙원사업을 손쉽게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요 현안사업의 대선 공약화 작업에 본격 나서고 있다. 27일 지자체들은 각 대선후보들이 지역 문제와 연관된 공약에 대해 집권 뒤 ‘표심 관리’ 등의 차원에서 정치적 무게를 많이 두는 점을 고려, 이들과의 네트워크 강화, 태스크포스 구성 등을 통한 지역 현안의 대선 공약화 작업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는 까다로운 정부 예산 확보보다 대선 이슈화를 통한 정치적 해결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판단에 기인한 것이다. 실제로 부산시의 경우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에게 북항 재개발사업 및 동남권 신공항 건설 등을 중심으로 한 ‘부산 비전 10대 정책공약’을 발표하도록 했고 정동영 통합민주신당 후보에게 ‘부산 영상문화도시 육성 특별법’ 제정 공약을 내놓게 하는 성과를 올린 사실이 알려지면서 각 지자체의 행보는 더욱 속도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한나라당에서 이 후보가 대선후보로 확정된 것과 관련, 대구시 등 몇몇 지자체는 이 후보의 핵심 공약인 경부운하와 연계된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등 기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충북도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ㆍ오창 유치와 중부권 국가산업단지 조성, 청주국제공항 저가항공 허브화 지역 현안사업 15개를 공약화 사업으로 선정해 한나라당과 범여권 대선주자들에게 이미 전달하고 이를 대선공약으로 선택해달라고 압박하고 있다. 경남도는 경남발전연구원과 함께 조만간 대선공약으로 추진할 사업들을 확정할 예정인데 남해안 시대 프로젝트를 비롯해 남해안고속화철도 건설, 이순신프로젝트, 88고속도로 4차선 확장 등 7~8가지를 검토하고 있다. 경북 구미시는 김천 KTX역사를 기점으로 구미시내를 통과해 국가산업단지와 선산읍을 연결하는 총사업비 2조5,000억원 규모의 경전철 건설사업을 대선공약화해줄 것을 정치권에 요구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이 후보의 ‘경부운하’ 공약과 연계해 대구시는 낙동강 인근에 첨단국가산업단지(로봇산업 클러스터 등)와 물류 및 하이테크 비즈니스 단지, 생태공원 및 레저벨트 조성 등을, 경북도는 휴양ㆍ레포츠 시설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낙동강 프로젝트를 각각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이달 말까지 대선공약을 공동 발굴하기로 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역 숙원사업이 정부 예산상의 한계 등으로 추진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며 “대선공약이 되면 보다 쉽게 숙원사업을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심리에서 각 지자체가 지역여론을 무기로 각 정당과 후보를 압박하며 현안이 대선공약으로 채택되도록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