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국 선천항도 부산항 추월 태세

중국 상하이항이 이미 부산항을 따돌린 가운데 심천항마저 부산항을 추월할 태세다. 오갑원 재정경제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은 상하이가 컨테이너 처리 물량에서 지난 4월 이후 부산을 앞지른 데 이어 심천항마저 올해 전체 실적에서 부산을 추월할 가능성이 있다고 9일 밝혔다. 작년 말 현재 컨테이너 처리 실적을 기준으로 한 순위는 홍콩이 1위인 가운데 싱가포르, 부산, 상하이, 카오슝(대만), 심천(중국), 로테르담(네덜란드), 로스엔젤레스(미국), 함부르크(독일), 앤트워프(벨기에)가 그 뒤를 따랐다. 최근 5년간(98-2002년) 상하이와 부산 두 항만의 연 평균 물동량 증가율을 보면상하이가 올해 연간 실적에서도 부산을 제치고 3위 입성이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는 지난 4월 컨테이너 처리량이 91.6만개로 부산항의 91.4만개를 웃돌며 월별 기준으로 처음 추월한 후 5월 89.2만개 대 87만개, 6월 96.4만개 대 87.2만개, 7월 97.4만개 대 85.5만개, 8월 100.6만개 대 79.3만개로 갈수록 격차기 벌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올 들어 8월 말까지 상하이는 719.9만개를 처리해 부산항의 687만개 보다 21.3만개 가량 많았다. 특히 부산항의 물동량이 6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 것은 화물연대 파업 등을 감안해도 충격적이다. 중국은 해외 부문에서 들어오는 직접 투자가 값싼 노동력에 기반한 제조업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상하이와 심천 등 주요 항만으로 들어오는 자체 물동량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01년에 이뤄진 외국인의 대(對) 중국 직접 투자 469억달러 가운데 제조업이 63.5%를 차지했다. 오 단장은 심천의 경우 부산항과 경쟁 관계에 있지는 않지만 배후 물동량 증가로 부산항을 앞지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상하이가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 증가율이 35.8%에 달했지만 심천항은 49.9%로더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임석훈기자 shim@sed.co.kr>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