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합원 연수는 해외공장 체험 기회 美 강성노조 몰락 시사점 느끼게 될것"

이경훈 현대차 노조위원장

"강성노조의 대명사로 불리던 전미자동차노조(UAW)의 몰락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느끼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23일 이경훈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은 최근 발간된 노조신문 등에서 "조합원 해외연수는 관광이 아니라 해외공장의 실체를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3일 남양연구소 조합원 40명이 1차로 해외연수에 나선 것을 시작으로 총 30차에 걸쳐 1,200여명이 해외연수를 한다. 2002년 도입돼 9년째를 맞은 해외연수는 올해 대상 조합원 수가 가장 많다. 2월 초 미국 자동차 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한 세미나에 참석하기 위해 이번 해외연수 북미코스를 다녀왔다는 이 위원장은 "조합원들이 자동차 산업의 메카인 미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와 미국 현지공장의 실체를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미국 자동차 산업의 르네상스를 주도했던 디트로이트를 방문하는데 그곳에서 미국 자동차 산업의 흥망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트로이트는 전미자동차노조 산하의 빅3인 크라이슬러ㆍ포드ㆍGM사 공장이 모두 있었던 곳으로 강성노조와 사측의 대립으로 상당수 공장이 철수하며 몰락의 길을 걷게 됐다. 당시 이 위원장은 노조신문에 쓴 방문기에서 "미국의 5대 도시였던 자동차도시 디트로이트 도심이 폐허가 되고 무너져가는 건물이 즐비한 현장을 목격하면서 형언할 수 없는 충격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또 "(디트로이트에서) 일자리가 없어지며 인구는 줄고 건물은 폐허가 되는 산업공동화 현상은 '한국의 자동차 도시-울산'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부분"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이번 해외연수에서 새로운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현지공장과 중국 자동차 산업을 목격하고 미래를 진단할 수 있는 기회도 체험할 것"이라며 "해외연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관광 성격이 아닌 해외공장의 실체를 확인하고 우리의 마음자세를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이어 그는 "노조의 발전과 도약을 위한 연수인 만큼 많은 것을 보고 느끼며 체험하는 시간이 되기 바란다"며 "조합원의 견문을 넓힐 수 있는 해외연수 기회를 더욱 확대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