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치] 민노 정책뒷받침 '싱크탱크' 관심

민주노동당이 진보정당으로서는 40여년만에 처음으로 원내에 진출하면서 ‘개혁’ 정책을 뒷바침할 핵심 브레인들의 면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당의 전략기획을 총괄하며 17대 총선에서도 선대본부장을 맡아 선거를 총괄지휘했던 노회찬 사무총장이 당내 최고 전략가로 꼽힌다. 서울관악 을에 출마했던 신장식 기획위원장과 문명학 기획조정실장도 ‘기획통’으로 분류된다. 민노당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인 ‘부유세’ 입안에는 정책부장을 맡고 있는 김정진 변호사가 깊숙이 관여했다.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김 변호사는 사법연수원을 마친 뒤 2002년 민노당에서 상근변호사로 활동을 시작, 화제가 됐던 인물. 자본론 연구가로 잘 알려진 송태경 당 정책국장은 주로 상가임대차보호법등 민생관련 정책 생산에 관여하고 있고 이선근 민생보호단장은 민생관련정책 실행까지도 담당하고 있다. 박창규 정책부장은 전국농민회총연맹과의 긴밀한 협의 속에 당의 농업정책 을 마련했으며 평화군축분야에서는 윤영상 정책위원이 핵심 브레인으로 꼽 힌다. 이밖에 민노당의 중심축을 이루는 민주노총과의 연결고리로는 정책연구원 오건호 박사를 들 수 있다. 당 밖에서는 진보적 대학교수 그룹이 이번 총선기간 공약마련에 적극 참여 , 당의 이론을 정책화 하는 데 공헌했다. 대표적인 인물로 정영태 인하대교수가 꼽히며 조연현 성공회대 교수, 장상환 경상대 교수 등도 외부 지원 그룹에 속한다. 부문별로는 조세ㆍ재정 부문에 경기대 이재은 교수, 무상의료부문에 가천의대 임준 박사가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정진상 경상대 교수는 주로 민노당의 교육정책입안에 아이디어를 많이 제 공했다. 서울대 폐지, 국공립대 통합 등의 정책이 정 교수의 손을 거쳐 나 온 공약들이다. 통일정책에서는 ‘만경대 방명록’ 사건으로 유명한 동국대 강정구 교수가 적극 나섰다. 민노당은 선거 기간 민노당 지지선언을 했던 교수 300여명을 중심으로 자문교수단을 구성해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자문교수단에는 가톨릭대 조돈문 교수와 서울대 김수행 교수, 박거용 상명 대 교수 등이 핵심인물로 활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 김창익기자 window@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김창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