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방대 특성화 5년간 1조4,200억원 지원

지방대학 특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올해 2,200억원, 또 내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3,000억원 등 5년간 1조4,200억원이 투입된다. 지방 소재 일반대학과 전문대, 산업체,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사업단이 지원 대상으로 모두 80~90개가 선정돼 연간 10억원에서 최고 50억원이 지원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3일 국가균형발전 전략의 하나로 올해부터 추진하는 `지방대혁신역량 강화사업`세부 사업계획을 확정, 4월까지 각 대학으로부터 사업계획을 받아 지원 대상 사업단을 선정한 뒤 6월부터 재정 지원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따라서 지방대 지원이 모든 대학에 일반예산을 골고루 나눠주던 방식에서 선택과 집중 형식으로 바뀌기 때문에 지방대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가속화되고 경쟁력 없는 대학이 퇴출되는 등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계획에 따르면 지원 대상은 서울ㆍ인천ㆍ경기 등 수도권을 뺀 전국 13개 광역자치단체와 이들 지역에 있는 일반대학 135개교, 전문대 106개교 등 총 241개교이다. 대학을 중심으로 산업체와 연구소, 시민단체(NGO), 지역언론, 지자체 등이 사업단을 구성해 교육과정 개선ㆍ운영계획, 산학협력 또는 취업 촉진 프로그램 등 지역발전 전략에 맞춘 인력양성 사업계획을 제출하면 되며 대상으로 선정되면 자체 성과목표를 설정, 교육부 장관과 협약을 맺게 된다. 사업분야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대학은 중심대학과 협력대학으로, 전문대는 협력대학으로 참여할 수 있다. 사업단으로 선정되려면 신입생 충원율을 매년 90%(대학 전체로는 60%) 이상, 교원확보율은 80%(대학 전체로는 60%) 이상 유지하거나 달성해야 하며 이를 맞추지 못하거나 정원을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고, 그렇지 않거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지원 대상에서 탈락한다. 교육부는 이 사업이 끝나면 지방대 졸업자 취업률이 지난해 기준 57.6%에서 70% 이상으로 높아지고 선정 분야 신입생 충원율은 100%, 교원확보율은 80%로 각각 올라갈 것으로 기대했다. <최석영기자 sychoi@sed.co.kr>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