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서울 아파트 값 30%가 거품"

서울 아파트 값에 30% 가량의 거품이 끼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동산 정보 제공업체 부동산뱅크는 지난 89년부터 현재까지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지난 2000년 말과 올 6월 현재 동시에 존재하는 1,536개 단지, 82만2,871가구 기준)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2일 밝혔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난 89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 아파트 값은 매년 평균 7.01% 상승했지만 지난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은 매년 14.8~28.0%의 상승률을 보이면서 가격이 급등했다. 만일 지난 2001년부터 올 6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매년 7.01% 올랐다고 가정하고 이를 1,536개 단지에 대입하면 서울 아파트의 시가총액은 203조5,412억원인 것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지난 6월 현재 실제 시가총액은 이보다 81조원 가량 많은 284조8,191억원이어서 현재 매매가격의 28.5%는 거품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를 구별로 보면 송파구(38.9%), 강남구(38.6%), 양천구(38.2%) 등은 거품 비율이 38%대에 달했으며 강동구(36.0%), 서초구(35.1%) 등도 현재 매매가격의 35% 이상이 거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봉구(12.7%), 은평구(14.3%), 중랑구(15.8%) 등 강북지역은 상대적으로 거품 비율이 낮았다. 개별 아파트별로 거품 정도를 보면 강남구 대치동 A아파트 57평형의 현재 매매가격은 16억5,000만원이지만 2001년 이후에도 1989~2000년의 강남구 평균 상승률(8.40%)만큼만 올랐을 경우의 매매가격은 9억8,217만원이어서 6억6,783만원은 거품인 것으로 분석됐다. 서초구 반포동 B아파트 16평형의 경우 같은 계산 방식을 적용하면 2억6,203만원이 정상적인 매매가격이지만 실제 매매가격은 7억원 선에 달하고 있으며, 송파구 잠실동 C아파트 15평형의 경우 현재 매매가격 8억1,500만원 중 5억원은 거품인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