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9월 2일] 중국의 위안화 딜레마

중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국제경제적 위상에 맞춰 자국 통화인 위안화의 국제화 작업에 총력을 쏟고 있다. 기축통화인 달러화를 대체할 슈퍼통화의 창설을 제안한 데 이어 최근에는 경제 사령탑인 왕치산 부총리가 총책임을 지고 상무부ㆍ외환관리국 등 주요 부처가 참여하는 위안화 국제화 태스크포스팀(TFT)을 발족했다. 서브프라임사태로 미국 경제가 거덜이 났는데도 오히려 달러화 수요가 몰리고 중국을 포함한 각국은 미 국채의 폭락 등 세계 동요를 막기 위해 미 국채를 더 사들여야 하는 경제적 모순을 한풀한풀 제거해나가자는 게 중국 정부의 생각이다. 하지만 한 나라의 통화가 국제통화, 더 나아가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경제 규모가 크다고, 외환보유액이 많다고 되는 게 아니다. 국제통화가 되려면 본질적으로 금융ㆍ자본거래 수단으로 다른 통화와 태환이 돼야 한다. 지금 위안화는 무역 및 서비스 거래만 태환이 가능한 상황이다. 무역거래든, 자본거래든 자유롭게 돈을 바꿀 수 있어 언제든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국제통화로 첫 출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다 중국 정부는 환율을 시장에 맡기지 않고 위안화를 달러화에 사실상 고정시키는 환율정책을 쓰고 있다. 중국은 저평가된 위안화를 바탕으로 제품 가격 경쟁력을 확보, 수출 주도형의 경제 성장을 구가해왔다. 국제통화로 나아가려면 이 같은 인위적 환율정책을 폐기하고 과감하게 위안화를 시장에 내던져야 한다. 중국 외환정책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위융딩 중국 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장이 최근 "중국은 수출을 줄이고 외환시장 개입을 자제해야만 위안화의 국제화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위안화의 태환과 시장화가 국제화의 선결조건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중국 정부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위안화의 급격한 가치 변동이 수출 경쟁력에 치명타를 입히고 이에 따라 경제가 망가지는 우를 범할 수 있다. 또 외환 등 자본거래 시장을 활짝 열어 급격한 자본 유ㆍ출입으로 환율이 출렁거릴 경우 꼬리(금융)가 몸통(실물)을 흔들 수 있다. 위안화의 국제화. 당위 명제이면서 쉽사리 다가갈 수 없는 중국 정부의 고민이 배어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